살처분 트라우마 관리 강화
파주시 파평면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접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대한 긴장감이 지속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는 내년 2월까지 특별방역기간을 운영하고, 살처분 작업 종사자에 대한 트라우마 관리를 강화하는 등 철저한 방역태세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1일 농림축산식품부는 파주시 파평면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신고가 들어왔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초동방역팀을 투입해 사람과 가축, 차량 등의 이동을 통제하고 긴급방역 조치를 하고 있다.
현재까지 확진 사례는 도내 4건, 강화군 5건 등 총 9건으로 이번 신고가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되면 10번째 발병 사례가 된다. 파주시에서는 지난달 17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서 처음 확진됐으며 이어 24일에도 한 차례 더 발생한 바 있다.
한편 도는 ASF 완전 진압을 위해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ASF를 비롯한 조류인플루엔자(AI)ㆍ구제역 등 동물 질병을 막기 위한 ‘특별방역기간’을 운영하기로 했다. 도는 특별대책기간 동안 ‘심각 단계’에 준하는 최고수준의 선제 차단방역을 실시한다는 구상이다.
대책으로는 △산란계 농가 앞 통제초소 조기 운영 △오리 농가 사육제한 확대 추진 △중점방역관리지구 소독ㆍ예찰 강화 △유통 및 검사ㆍ이력관리 철저 △항체 발생률이 부족한 농장에 과태료 처분 등이 명시됐다.
이와 함께 ASF 살처분 작업에 투입된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트라우마 관리 강화를 약속했다. 살처분 종사자들이 식욕 부진이나 불면증, 환청 증세를 호소하는 등 트라우마에 시달리면서 심리 상담 및 치료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현재까지 도내 살처분, 매몰 작업에 투입된 공무원, 군경, 용역직원 등 인력은 1천300여 명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재난대응은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라며 “자식처럼 기른 돼지를 살처분해야 하는 농장주인도, 그 업무에 투입된 공무원과 용역직원들도 모두 극한의 정신적 고통과 싸우고 있다. 트라우마 관리로 대응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