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감염경로 미궁 속 ‘파리’도 역학조사… 이낙연 총리 “모든 가능성 고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원인이 드러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북한에서 날아든 ‘파리’가 전파자일 수 있다는 주장(본보 9월 23일자 6면)과 관련, 검역 당국이 파리를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열고 역학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이는 국무총리가 파리 등을 포함해 역학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지시한 데 따른 조처다.

1일 농림축산검역본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검역ㆍ방역 당국은 ASF 관련 역학조사 대상을 포괄적으로 잡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까지 ASF가 총 4건 발생(파주 2건, 연천ㆍ김포 각 1건)한 경기도는 살처분 농장 및 방역대 통제초소 등에 집중소독을 벌이는 동시에 역학검사 대상 농가 400여 곳에서 ‘해충 구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ASF 감염경로 파악을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갖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파리와 같은 해충도 그 가능성 중 하나”라며 “해충 구제 활동을 하면서 종합적이고 거시적으로 상황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검역본부 역시 ASF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리도 발생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며 역학조사 과정에서 이를 살펴보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이낙연 총리는 지난달 28일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수습본부에서 농림축산식품부, 통일부, 행정안전부 등이 참여한 범정부 ASF 방역대책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이 총리는 “지금 우리는 사람, 차량 또는 큰 짐승을 통해 (ASF 바이러스가) 옮겨질 것이라는 전제하에 소독과 방역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우리의 방역 체제가 놓칠 수 있는 것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하수를 통해 침투되거나, 파리 같은 작은 날짐승으로 옮겨지는 것은 지금의 방역 체제로 완벽하게 막기 어렵다”며 “방역 당국은 국내외 전문가들 의견을 모두 들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해영•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