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컨테이너 물동량 전년 대비 8.8% 증가

신규항로 개설 등 동남아시아 수출입 호조

평택항의 지난 8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47만1천382 TEU로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주요 항만 중 가장 높은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율이다.

2일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해양수산부 통합 PORT-MIS 항만물류통계 자료를 집계ㆍ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컨테이너 증감율은 전국 평균(2.5%), 부산항(2.7%), 인천항(-0.2%), 여수광양항(4.6%), 울산항(8.0%) 등으로 조사됐다.

평택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47만1천382 TEU는 8월 누계 기록으로는 최대 규모로 수출입 물동량 호조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경우 개항 이래 최초로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 72만 TEU 시대가 열리게 될 전망이다.

국가별로는 베트남이 전년 동기 1만5천983 TEU에서 올해 2만5천143 TEU로 약 81.3%가 증가해 증가폭이 가장 컸으며 태국(13.4%), 중국(7.3%) 등의 으로 나타나 동남아시아 수출입 물동량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평택항에서 베트남 수출은 51.8%, 베트남에서 수입은 61.7% 증가하고 중국으로 수출ㆍ수입 물동량은 각각 6.7%, 7.8% 증가해 중국과 동남아 국가와의 수출ㆍ수입 물동량 모두 호조세가 이어지고 있다.

컨테이너 화물 증가 요인으로는 지난해 개소한 삼성전자 평택 CDC가 안정적으로 활성화됨에 따라 백색가전 제품 역수입 증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경기평택항만공사는 그동안 도내 중소기업의 태국, 베트남 등 동남아지역 수출 확대, 물류비 지원을 위해 경기도와 평택시 등과 화물유치 인센티브 등 다양한 정책을 실시해왔다.

특히 지난 8월 말부터 태국과 베트남 정기 컨테이너 항로(평택-부산-호치민-방콕-람차방-호치민-인천) 서비스를 신규로 개설했

경기평택항만공사는 “이번 통계 발표 자료는 신규 개설된 태국과 베트남 정기 컨테이너 항로 실적 관련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향후 평택항을 통한 경기도 수출입기업의 동남아 교역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