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부 지도자들 규탄대회 도교육청에 대책 마련 요구
최근 5년 새 경기도 내 학교운동부가 무더기로 해체돼 ‘경기도 엘리트 체육’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본보 10월 24일자 1면)에 도내 학생운동부 지도자들이 “도교육청이 ‘G-스포츠클럽’ 전환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면서 학교운동부 해체를 유도하고 방임했다”고 규탄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1일 도교육청 앞에서 ‘학교운동부 지도자 문제해결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운동부 해체 원인으로 ‘G-스포츠클럽 사업’을 지목하며 ▲일방적 G-스포츠클럽화 추진 즉각 중단 ▲학교운동부 지도자 고용안정 보장 ▲학교운동부 지도자 주52시간제 예외직종 요구 등을 요구했다.
김영삼 경기지부 학생운동부지도자 전국분과장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도교육청은 학교체육 정상화라는 미명 아래 자라나는 학생선수들의 행복추구권을 방해하고 있다”며 “더구나 G-스포츠클럽를 전면화한 이후 운동부 해체 수가 더 늘고 있으며, 운동부 해체는 곧 학교운동부 지도자들의 고용불안과 직결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학교장들이 주52시간제를 지키라며 주말ㆍ전지훈련 금지, 운동부 해체까지 요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책 마련도 요구했다.
이와 함께 학교 연계형 공공스포츠클럽 전환 찬성학교 현황 자료가 대부분 조작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도교육청은 공공스포츠클럽 전환에 대해 일방적으로 공문을 발송하는 등 책임 없는 업무를 일삼고 있다”고 날서게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경기지부는 “도교육청이 대책 없이 주52시간제 관련 공문을 학교에 내려 보냈고 이를 지키지 않으면 처벌받는데 어떤 학교장이 운동부를 유지하려고 하겠느냐”고 주장하며 ‘주52시간제 시행에 따른 학교 운동부 운영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G-스포츠클럽 전환을 위해 학교운동부 해체를 강요한 적 없으며, 오히려 학교 측에 운동부 보존을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현숙ㆍ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