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 앞둔 (재)평택복지재단 김기성 이사장 “지역복지 향상 위해 민·관·학계 협치 필요”

복지거버넌스 출범 등 정책목표
25개 사업·재단 역할정립 주력
민간 정책 제안기능 강화해야

“평택복지재단은 지역복지 향상을 위해 민ㆍ관ㆍ학계 등 지역사회 모두와 협치를 이뤄나가야 합니다.”

지난해 10월 취임 이후 1년 동안 ‘재단의 역할정립’과 ‘지역복지 서비스질 향상’이라는 두 가지 핵심 목표에 매진해 온 김기성 (재)평택복지재단 이사장은 퇴임을 앞두고 이같이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올 한해 동안 ▲민ㆍ관 거버넌스 상생모델 기능을 위한 ‘평택 복지거버넌스 출범’ ▲재단 비전 및 중장기 발전 연구용역을 통한 5대 정책목표와 11개 영역 25개 세부사업 등을 발표하며 재단의 역할정립에 주력했다.

또 인사와 복무규정을 개정해 복지기관 전국 최초로 재단 34명의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화로 전환하며 종사자의 처우개선에도 앞장서 왔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처우개선 요구를 위한 노조 단체교섭 합의는 경기도에서 최초, 전국에서 다섯 번째 모범사례로 꼽히는 성과로 나타나기도 했다.

복지재단을 운영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없었을까. 이에 대해 김 이사장은 “평택의 사회복지를 어떻게, 어떤 방법을 통해 개선하느냐의 문제로 고민을 많이 했다”면서 “그러나 이 문제는 결코 평택복지재단 이사장 혼자서 풀 수 있는 것이 아니었기에 재단 구성원, 평택시와 관계, 민간 사회복지 단체와의 관계 속에서 시민이 만족할 수 있는 복지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술회했다.

김 이사장은 향후 복지재단이 힘써야 할 과제에 대해서도 말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복지재단의 역점 과제로 민간의 복지 영역과 평택시를 이어주고 지원하는 중간조직의 역할로 더욱 확대 발전시켜야 한다”며 “‘평택 복지거버넌스’를 민간 사회복지단체들과 소통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하고 ‘평택형 복지연구’를 통한 지역 맞춤 복지를 위한 정책 제안 기능도 강화해야 한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