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기지 이전 합의… 5호선 김포연장 ‘속도’

서울시, 건폐장 배제… 한발 물러나
당정 간담회 열고 분리방안 추진
예산 5억 확보, 내년초 용역 착수

김두관 국회의원(왼쪽 두번째) 등 김포, 인천 서구, 서울 양천, 강서구 등 관련 지역구 국회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이 당정 간담회를 갖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두관 국회의원실 제공
김두관 국회의원(왼쪽 두번째) 등 김포, 인천 서구, 서울 양천, 강서구 등 관련 지역구 국회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이 당정 간담회를 갖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두관 국회의원실 제공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연장(김포한강선) 사업이 서울 건설폐기물처리장(이하 건폐장) 동시이전에 발목이 잡혀 난항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과 정부, 서울시 등이 차량기지와 건설폐기장을 분리하는 방안을 추진, 주목되고 있다.

일단 차량기지와 건폐장의 패키지 이전을 고수해 온 서울시가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나 차선책을 선택한 모양새다.

25일 김포시와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오후 국회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최기주 국토부 대광위원장, 관련 지역구의 더불어민주당 김두관(김포갑)·신동근(인천 서구을)·금태섭(서울 강서갑)·황희(서울 양천갑) 국회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당정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에서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연장을 건폐장 이전을 배제하고 기존 5호선 방화차량기지 이전과 함께 2호선의 신정차량기지 이전을 추진키로 했다.

이같은 방안이 추진될 경우 건폐장 동시이전 없이는 경제타당성(B/C)이 나오지 않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 동안 서울시가 김포한강선을 위해 건폐장과 방화차량기지의 동시 이전 방침을 고수해 김포 및 인천 서구 등과는 이견을 보임에 따라 김포한강선은 건폐장 이전 문제가 핵심 쟁점이 돼왔다.

특히나 김포한강선에 대한 국토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차량기지 이전과 함께 방화차량기지내의 건폐장 이전을 연계시켜 인천시, 경기도 등 지방정부간 협의가 진행되지 못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2호선 신정차량기지와 방화차량기지를 통합 이전해 B/C값을 높이고 방화차량기지 내의 건폐장 이전을 별도의 프로젝트로 진행, 5호선 연장의 전제조건으로 연계시키지 않기로 함으로써 5호선 연장의 걸림돌을 제거했다.

이어 서울시는 ‘서울지하철5호선 연장 및 방화·신정차량기지 이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차량기지 이전 장소와 노선 등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2·5호선 신정·방화차량기지 이전 사전 타당성 조사’를 위해 5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내년초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또 내년 11월 용역결과를 ‘4차 국가철도망계획’과 ‘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김두관 의원은 “당정간담회를 통해 나온 새로운 가능성을 포함해 ‘김포한강선 유치’가 반드시 이뤄지도록 문재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의 힘을 모아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포시가 전문기관에 의뢰해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연장(김포한강선)의 경제타당성 조사용역을 실시한 결과, 서울시 건폐장 동시이전(김포, 인천 서구지역)을 전제로 할 경우 경제적 타당성(B/C값 0.9 이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폐장 이전없이는 경제타당성에 현저히 떨어져 사실상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연장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김포=양형찬 기자

사진설명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