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나희승, 이하 철도연)이 국내 소재를 적용한 경량전철용 제3궤조 집전장치 개발로 신기술(NET) 인증을 획득했다.
제3궤조는 열차가 달리는 선로 위 궤도를 따라 설치된 또 다른 레일에 의해 전기를 공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26일 철도연에 따르면 2017년부터 2년 동안 ‘철도연 중소ㆍ중견기업 지원연구사업’으로 철도연과 우진기전이 공동으로 개발한 경량전철용 제3궤조 집전장치는 국토교통부 도시철도차량 철제차륜 경량전철 기술기준과 국제표준(KS C IEC 60494-2)에 적합하게 설계ㆍ제작됐으며 집전용량을 비롯한 운동변위량, 진동ㆍ충격 특성, 내구성, 집전슈 마모 등 KOLAS 공인시험기관에서 성능검증을 완료했다.
이번에 개발된 집전장치는 제3궤조용 집전장치의 가장 큰 문제였던 겨울철 결빙을 해결했으며 차량에서 전력을 받아들이는 집전슈의 뒷면 내부에 열선을 장착해 겨울철에도 안전한 정시운행이 가능해졌고 2년 주기로 교체되는 집전슈를 국산 소재인 구상흑연주연철을 적용해 안정적인 자재공급과 유지보수성을 높였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철제차륜형식 경량전철과 상호 호환이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집전장치와 급전선을 빠르고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쉽고 해외에서 전량 수입해 온 제3궤조 집전장치를 국산화함으로써 수입대체로 인한 기업의 매출 신장 등이 기대된다.
철도연은 향후 경량전철시스템 구축 예정 지역인 인천도시철도 2호선과 우이 신경전철, 김포 경전철 등 새로운 노선과 기존노선의 유지보수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개발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경량전철 제작사들과 협력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그동안 해외 수입품에 의존해 오던 도시철도 핵심소재부품을 중소기업과 공동 개발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철도분야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개발을 위해 중소ㆍ중견기업 지원을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전했다.
의왕=임진흥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