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의회, 상임위원회 3개에서 4개로 증설 추진

평택시의회 상임위원회가 현행 3개에서 4개로 증설될 것으로 보인다. 상임위원회가 증설되면 각각의 위원회 소관 의안심사나 청원심사 등의 직무가 세분화되기 때문에 개개인의 전문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5일 평택시의회와 평택시에 따르면 시의회는 오는 21일 시 집행부와 의원간담회를 연다. 2020년 새해 들어 처음으로 열리는 이날 의원간담회에서는 시의회 상임위원회 증설 등의 안건을 집중 논의한다.

현재 의장을 포함해 의원정수가 16명인 시의원는 지방자치법과 ‘평택시의회 위원회 조례’에 따라 운영위원회, 자치행정위원회, 산업건설위원회 등 3개의 상임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의회 운영이나 의회사무국, 의회관련 조례 등의 직무를 하는 ‘운영위원회’를 제외한 사실상 ‘자치행정위’와 ‘산업건설위’ 2개의 상임위로는 구조적으로 시 집행부의 방대한 행정에 대한 깊이를 담보한 견제가 불가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실제로 7명의 자치행정위 소속 의원은 소통홍보관, 안전총괄관, 기획조정실, 총무국, 사회복지국에 2개 직속기관(평택보건소ㆍ송탄보건소), 4개 사업소(한미협력사업단, 영상정보운영사업소, 평생학습센터, 도서관), 3개 산하기관(복지재단, 청소년재단, 국제교류재단) 소관에 속하는 사항에 대한 직무를 수행, 업무파악조차 제대로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산업건설위 소속 8명의 의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들은 항만경제전략국, 환경농정국, 도시주택국, 건설교통국과 1개 직속기관(농업기술센터), 2개 사업소(상하수도사업소, 차량등록사업소), 1개 산하기관(평택도시공사) 소관에 속하는 사항에 대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항만이나 환경, 도시, 주택, 건설, 교통 등 분야마다 모두 전문성이 요구되는 것들로 산건위에서 모두 감당하기에는 너무 벅차 상임위를 늘려 직무를 분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시의회와 시는 지난해 시 인구가 50만 명을 넘어서면서 향후 의원 정수 증가 등에 대비해 상임위 증설의 필요성에 뜻을 같이하고 19억6천만 원의 예산을 확보해 516.71㎡(156평) 2층 규모의 의회 청사 증축에 착수했다.

시의회는 이번 의원간담회에서 상임위 증설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짓고 오는 7월 후반기 원구성부터 실제로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평택시의회 권영화 의장은 “상임위원회 증설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고 이것을 의장단에서 논의한 결과 모두 찬성하고 있다”면서 “이번 의원간담회에서 의원 한사람 한사람 의견을 모두 듣고 상임위원회 증설 여부는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