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군·구가 주민 반발로 어려움을 겪는 수소연료전지 사업과 관련, 발전소 건립 지역의 혜택을 극대화 하는 방식으로 주민 수용성을 높여 나가고 있다.
최근 동구에 들어설 인천연료전지㈜ 건립에 따른 지원사업비 36억원을 동구에만 집중 지원하기로 모든 군·구가 합의한 것은 주민 수용성 향상을 위한 첫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이번 합의는 앞으로 인천에 조성할 크고 작은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 11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도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조성하는 지방자치단체에만 지원금을 지원하는 방향의 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허인환 동구청장은 12일 “수소연료전지와 관련해 나오는 지원사업비를 동구에 모두 지원하는 내용으로 각 군·구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은 건립지로부터 5㎞ 이내를 대상으로 기본지원금과 특별지원금 등을 지원하는 제도다. 현재 동구에 조성 중인 인천연료전지와 관련한 기본지원금은 20년간 매년 3천만원이고, 특별지원금은 1회에 한해 30억원이다. 이 같은 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역은 동구를 비롯해 중구, 미추홀구, 남동구, 부평구, 서구 등도 있다.
그러나 최근 인천의 군수·구청장들은 인천연료전지 발전소가 도심 내 건설하는 수소연료전지의 첫 사례라는 것은 감안해 지원사업비 전부를 동구에만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그동안 주민의 거센 반발을 겪어야 했던 인천연료전지의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 구청장은 “2019년 11월 군수·구청장 협의회에서 인천연료전지의 발전소 지원사업비를 동구에만 지원하기로 합의 했지만, 1곳의 지자체 반대로 늦어지다 이번에 최종 합의했다”고 했다. 이어 “이 같은 합의가 앞으로 인천 곳곳에 들어설 수소연료전지에 적용될 것”이라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주민 수용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