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새해엔 가스안전 점검부터

설 연휴가 곧 시작된다. 최근 명절증후군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요즘에는 가정에서 명절 음식준비 등을 많이 간소화하는 분위기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들이 오랜만에 모이는 시기이다보니 난방, 조리 등의 사유로 가스사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가스사용량의 증가는 가스사고로 이어질 개연성을 높이게 마련이다.

실제로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설 연휴 기간 가스사고가 21건 발생했다. 이 가운데 사용자 취급부주의와 시설미비가 각각 6건으로 가장 많았고, 고의사고ㆍ제품노후ㆍ과열화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사용자 취급부주의 사고 중 휴대용 가스레인지 사고가 5건으로 가장 많았다.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는 부탄캔을 홈에 맞게 정확히 장착하고, 가스가 새지 않는지 확인해야 한다. 받침대보다 큰 조리기구를 사용하면 복사열로 인해 부탄캔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구 사용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휴대용 가스레인지 구입 시에는 국가통합인증마크(KC)가 있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하고, 권장사용기간(5년)이 경과하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설미비 사고에서도 보일러 급ㆍ배기통 관련 사고가 3건으로 절반에 달했던 만큼 겨울철 가스보일러 점검도 꼼꼼히 해야 한다. 보일러 배기통이 처지거나 꺾인 부분은 없는지, 또한 연결부가 제대로 고정돼 있는지 확인해야 안전하다.

가스보일러 가동시 불완전연소에 의해 일산화탄소(CO)가 발생하게 되는데, 배기통 이탈, 막힘, 찌그러짐 등의 이상이 생겨 일산화탄소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로 유입되면 인체에 치명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 5년 가스보일러 일산화탄소 중독사고의 원인을 살펴보니 54.1%(13건)가 배기통 이탈ㆍ막힘ㆍ부식 등에 의한 사고였다. 평상시 배기통 안전점검만 제대로 해도 절반 이상의 사고는 예방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또한, 집을 비우기 전에 가스레인지 콕과 중간밸브, 메인밸브(LP가스는 용기 밸브)를 잠그고, 연휴를 마치고 집에 돌아왔을 때 혹시라도 가스 누출이 의심되면 제일 먼저 창문을 열어 집안을 환기해야 한다.

LPG를 사용한다면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 특성을 고려해 빗자루 등으로 가스를 쓸어내듯 환기를 시켜야 한다. 급하다고 환풍기나 선풍기를 사용하면, 스파크로 점화되어 폭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기기구 사용은 절대 금해야 한다.

무엇보다 가스 누출이 의심되면 도시가스사나 LPG 판매점 등에 연락해 꼭 안전점검을 받는 것이 안전을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가스기기 안전점검은 생명을 지키는 소중한 습관이다.

가스사용량이 증가하는 설 연휴, 가스레인지ㆍ가스보일러 등 가스기기 안전점검 및 가스안전 사용 요령을 숙지해 안전하고 행복한 2020년 첫 명절이 되었으면 한다.

고영규 한국가스안전공사 경기지역본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