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의 확산방지를 위해 각종 대응책 마련에 나선 가운데 피해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긴급 추가경정예산 편성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총선이 치러지는 해는 선거 이후 추경을 편성해 왔지만, 올해는 선제적이고 원활한 대응을 위해 예년보다 앞선 긴급 추경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2일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등에 따르면 도내에서 고양ㆍ평택에 이어 부천ㆍ수원 거주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지속적으로 감염증이 확산세를 보이면서 도민들의 불안감이 잦아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긴급 추경을 편성해 보건ㆍ위생에 대한 대대적인 예방과 대응은 물론, 각종 행사 취소로 위축될 지역경제를 위한 지원책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앞서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경기도는 원포인트 임시회를 열고 600억 원 규모의 ‘메르스 추경’을 편성한 바 있다. 당시 600억 원 중 260억 원가량은 의료기관 경영지원, 감염병 전용 구급차 도입, 감염병 병실 소독 무인로봇 도입, 감염병 치료 의료진 심리치료 및 격려지원, 호흡기질환 치료 후보물질 개발 등에 쓰였고, 메르스 피해 전통시장 기반시설 확충 및 소상공인 지원, 관광산업 회복 등 지역경제발전에도 170억 원가량이 쓰였다.
이런 가운데 올해 경기도의회 회기일정을 보면 추경은 오는 9월 회기인 도의회 제345회 임시회에 예정돼 있다. 통상적으로 이뤄지던 상반기 추경도 올해는 4월15일 실시되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탓에 선거를 마친 뒤에나 추경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4월 중순이 넘어 추경예산이 편성되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시의적절한 대응이 힘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도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 일선 시ㆍ군에 36억 원의 재난관리기금을 투입했으며, 재난관리기금에서 약 220억 원의 즉시 가용 재원도 확보했다”면서도 “감염증 확산에 따른 여파를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지만, 사태의 심각성에 따라 조기 추경도 고려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