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이 지난해 초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대상에 포함돼 속도를 내고 있는 제2경춘국도 가평군 노선(안) 관철을 위해 연 초부터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군은 노선의 80% 이상이 가평을 통과함에도 불구하고 군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채 진행된 국토부 노선(안) 반대를 위해 지난 한달간 투쟁을 전개했다.
지난달 31일에는 김성기 군수를 비롯 송기욱 군의회 의장 및 통합범군민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 김석구·이원호 공동위원장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를 방문해 박순자 위원장과 국토부 손명수 제2차관 면담을 갖고 가평군민의 염원을 전달했다.
김 군수는 면담을 통해 “최단거리, 최소시간이 소요된다는 춘천시 노선안은 가평군을 패싱하는 상생의 원칙을 무시한 이기적인 발상으로 지역경제과 생존권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경기도, 가평군, 강원도, 춘천시가 상생할 수 있는 가평군 노선안으로 반영해 줄 것”을 건의했다.
이와 함께 송기욱 의장은 “가평군 노선안은 장대교 2개가 제외되어 예산절감 및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북한강 수계 환경파괴와 상수원 수질오염을 줄일 수 있어 건설비용과 환경보존 측면에서 경제적”이라며 “가평군과 춘천시, 인접도시인 화천군, 양구군이 동반성장 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김석구, 이원호 범대위 공동위원장은 “강원도 예타 면제사업으로 선정됐다는 논리로 각종 규제와 인구감소로 소멸위기에 처한 가평군의 현실을 외면한 춘천시 노선안의 경우 모든 피해는 가평군에 편익은 춘천시만 가져가는 졸속 계획”이라고 강력히 반대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오는 2022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제2경춘국도는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부터 춘천시 서면 당림리까지 총 32.9km 4차로 간선도로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모두 국고로 지어지며 서울과 춘천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가평=고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