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부천 등 확진자 나온 지자체 노인복지관·경로당 등 ‘휴관’ 반면
정부 관리 도내 노인 주·야간보호센터 등 554곳 “별다른 지침 없어”
복지부 “정기 이용, 관리 수월… 요보호자 있어 신중히 검토후 결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공포감이 경기도를 휘감았으나 도내 노인 주ㆍ야간보호센터 등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별도의 지침을 받지 못한 채 감염 우려 속에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가 취약계층인 노인 보호를 위해 일선 시ㆍ군에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등을 임시로 휴관하라는 권고를 내려, 보건복지부 역시 재가노인복지시설에 대한 휴관 조치 등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방지하고자 도내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등 총 1만62곳의 시설에 대해 임시휴관 조치해 달라는 권고를 일선 시ㆍ군에 전달했다. 이에 수원시와 고양시, 부천시, 평택시 등 확진자가 발생한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각 시ㆍ군이 노인복지관 등 시설에 대한 휴관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보건복지부의 관리 아래 있는 재가노인복지시설(노인 주ㆍ야간보호센터, 치매 전담 주ㆍ야간보호센터 등)의 경우 정부에서 별도의 지침을 내려주지 않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공포 속에서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 일부 시설이 감염에 대한 우려 탓에 자체적으로 휴관에 나서는 것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재가노인복지시설이 정상 운영에 나서고 있다. 도내 재가노인복지시설은 지난해 기준 총 554개소로 집계됐다.
수원의 A 노인보호센터 관계자는 “시설로 휴관 관련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으나 보건복지부로부터 별도의 지침을 받은 게 없어 불안감 속에서 운영을 이어나가는 중”이라며 “자체적으로 휴관에 들어간 센터도 있는 것으로 아는데, 정부에서 더는 방치하지 말고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내려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토로했다.
중국 보건당국 발표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사망자 24명 중 21명이 60~80대 노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노인과 어린이 등에 더욱 치명적으로 작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 노인 인구임에도 불구, 정부가 재가노인복지시설에 대해 아무 지침을 내려주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노인 주ㆍ야간보호센터 등 시설의 경우 이용자가 수시로 변하는 노인복지관, 경로당과 달리 정기적인 이용자로 구성돼 있어 상대적으로 관리가 수월해 아직 휴관 조치는 검토하지 않고 있다”며 “지역별로 반드시 보호가 필요한 노인도 있기에 휴관 조치는 신중하게 검토 후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