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내과 전문의 1명·간호사 3명뿐
“서울만큼 의료진 확대해야” 지적
국가지정의료병원인 인천의료원의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확진자가 폭증하는 등 유사시 국가지정의료병원으로서의 기능을 못 할 수 있어 조속한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인천시의회와 인천의료원 등에 따르면 인천 유일의 공공의료기관인 인천의료원은 가천대길병원·인하대병원 등과 함께 국가지정 음압병실을 갖추고 있는 등 지역 사회에 감염병이 확산하는 것을 막는 주도적 역할을 하는 국가지정의료병원이다.
하지만 인천의료원의 감염병 전문 보건·의료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인천의료원의 감염내과 전문의는 1명 뿐이고, 감염병 사태에 전문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간호사도 3명에 불과하다.
반면 서울의료원은 감염내과 진료과목이 별도로 있으며, 감염내과 전문의도 3명으로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 인력이 인천의료원보다 많다.
인천의료원처럼 감염병 관련 전문인력이 부족하면 국가적인 감염병 사태 때 대응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의료진의 번아웃 신드롬(탈진 증후근)도 심화할 수 있다.
인천의료원의 감염내과 전문의인 A의사는 최근 1번 확진자를 치료하느라 18일 동안 혼자서 휴일까지 계속 근무했다. A의사의 전문의의 피로감이 심해지자, 인천의료원은 일반 내과 전문의를 투입해 지원해주기도 했다.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은 “지금처럼 비상시엔 3~4배 인력을 충원해도 부족하다”며 “만약 확진자가 추가로 발생한다면 다른 전문의까지 투입해야 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인천의료원의 감염내과 의료진은 물론 일반 의료진까지 부족한 상태다. 환자에 대한 통합간병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간호사 수는 309명이지만 현재 인천의료원의 간호사는 205명이다.
이 때문에 인천의료원의 감염내과 전문의와 전체적인 보건·의료인력을 서울만큼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소속 김성준 의원(더불어민주당·미추홀1)은 “인천은 많은 외국인이 입국하는 만큼 외부에서 유입하는 신종 간염병을 막는 1차 검역망과 같은 곳”이라며 “보건·의료 인력의 처우 개선, 인천의료원의 전문의 정원을 늘리는 노력 등을 통해 인천의 감염병 대응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서울의료원은 상급병원이라 감염내과 전문의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인천의료원을 상급병원으로 확대하기는 현실적 문제가 많아 제2의료원 신설을 검토하는 등 인천의 보건의료 인력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