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경기도형 준공영제 노선 ‘G6001과 G6003’ 1일부터 도입 운행 개시

‘경기도 공공버스’ 운행이 시작된 1일 용인 단국대학교-여의도 한국거래소 구간을 오가는 7007-1 버스가 운행을 하고 있다. 이날 김포시(G6001번‚ G6003번)‚ 용인시(7007-1번)의 3개 노선을 시작으로‚ 다음 달 1일까지 19개 시•군 16개 노선에서 공공버스가 운행된다고 경기도는 밝혔다. 전형민기자
‘경기도 공공버스’ 운행이 시작된 1일 용인 단국대학교-여의도 한국거래소 구간을 오가는 7007-1 버스가 운행을 하고 있다. 이날 김포시(G6001번‚ G6003번)‚ 용인시(7007-1번)의 3개 노선을 시작으로‚ 다음 달 1일까지 19개 시•군 16개 노선에서 공공버스가 운행된다고 경기도는 밝혔다. 전형민기자

김포시는 경기도형 준공영제 노선인 ‘G6001과 G6003’을 1일부터 도입해 운행한다고 밝혔다.

경기도 준공영제가 도입된 노선은 입찰제 방식으로 경쟁을 통해 노선 운수업체를 선정, 5년~9년간 한정면허로 노선운영권을 주는 방식이다.

시는 “준공영제 도입 노선은 일정 부분 도와 시가 함께 적자부분을 해소함으로써 안정적인 노선의 운영을 보장하며, 좌석의 앞뒤거리가 넓은 리무진버스와 USB충전포트, 공공와이파이는 물론 친절한 기사의 고품질의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준공영제 노선을 포함한 시의 모든 시내버스는 코로나19를 대비해 1회 운행 종료마다 버스 손잡이와 기둥을 소독하고 있으며 탑승입구마다 손소독제를 비치하고 있다.

G6001번은 구래동 호수마을 5단지에서 출발해 장기동 센트럴자이, 걸포북변역, 사우역을 지나 당산역까지 왕복하며, G6003번은 매수리마을에서 출발해 누산삼거리, 사우역을 지나 당산역까지 각각 1일 42회씩 운행한다.

정하영 시장은 1일 첫차를 시승하고 차량 준비상황 및 코로나19 대비상태 등을 점검한 뒤 “이번에 처음 도입한 경기도형 준공영제를 앞으로도 지속 확대해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