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성모병원 홀뮴 레이저 전립선 절제 수술 8년 만에 500건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이 2012년 첫 수술 뒤 경기북부 최초로 500건의 홀뮴 레이저 전립선 절제 수술을 했다고 9일 밝혔다.

홀뮴 레이저 절제 수술은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전립선 비대증 등을 홀뮴 레이저로 수술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절제술에 비해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립선은 남성에 존재하는 장기로 방광 아래서 요도를 감싸고 있다. 40대 이후 크기가 증가하게 되며 커진 전립선은 요도를 압박해 빈뇨, 지연뇨, 세뇨, 단속뇨, 잔뇨 증상을 일으키고 심하면 요폐색, 잔뇨량 증가로 잦은 요로감염이나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대개 50대가 되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70대 70% 정도는 전립선 비대증을 보인다.

초기 경미한 때는 알파 차단제 등 약물치료를 시도하나 증상 정도에 따라 2가지 이상 복합적 약제를 복용한다. 약물치료에도 급성 요폐나 반복적 전립선염, 요로감염, 방광 결석 또는 배뇨증상으로 신장 기능이 악화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내시경을 요도로 삽입해 커진 전립선 조직을 깎아내는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을 많이 이용하나 완전 절제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로 커진 조직을 태우는 방법에서 최근에는 홀뮴 레이저를 이용한 수술법이 매년 늘고 있다.

배상락 비뇨의학과 교수는 “홀뮴 레이저 전립선 절제술은 레이저를 통해 선종만을 제거하는 수술법으로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과 비교해 출혈이 적고, 수술 뒤 회복이 빠르다”고 밝혔다.

의정부= 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