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코로나가 미치는 교통안전

2019년 12월 1일 중국에서 ‘우한 폐렴’으로 불리며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이 3월 12일 기준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119개국으로 전파되면서 인류 생존의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의 병원과 거리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사망자들이 속출하는 영상 등을 통해 우리 또한 바이러스의 희생자가 되지 않을까하는 불안감과 염려로 매체에서 전하는 사망자수와 확진자수에 크게 민감해져갔다.

이와 반대로 대형 교통사고의 언론 노출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매일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사망자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통사망사고의 경우 영상 정보 노출이 매우 드물기 때문에 우리의 교통사고 사망자수에 대한 관심은 극히 미약한 상태이다.

정부의 2020년 교통사고 사망자수 감소 목표는 2천867명으로 수립되어 있는데, 이는 매일 교통사고로 약 8명씩 사망해야만 달성할 수 있는 수치이다. 이 수치는 경찰, 지자체, 교통 유관기관, 교통봉사단체, 시민이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이전보다 다양한 교통안전사업 및 활동을 해야만 가까스로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교통안전에 대한 관심과 정책 집행 추진력이 크게 떨어진 상황에서 과연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들며 추후 목표치의 수정 필요성이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코로나19와 교통사고 감소 목표 달성이라는 두 개의 싸움을 동시에 할 수 밖에 없어 가장 힘든 한 해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감염을 우려하는 시민들로 인해 택시·버스·전철·기차 등의 대중교통 이용률이 감소하면서 대중교통 운영기관 및 회사들은 매출 하락이 진행되고 있고 소속 운전자들을 코로나19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스크, 소독제, 손 청결제 등을 확보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소진되어가고 있어 앞으로 확보되지 못할 경우 방역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대중교통 특성으로 인해 감염자를 구별할 수 없기에 대중교통 이용 시 사전에 감염자의 이용을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지역 확산 전파의 통로가 될 가능성이 크다.

2020년 1월 30일에 의학논문 사전인쇄 플랫폼(medRxiv)에서 공개한 「2019년 중국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전파 컨트롤 대책에 관한 조기 평가」라는 연구에서는 후베이성 수도 우한시에서 유흥장소 폐쇄, 공공집회 금지, 대중교통 운행 중단 및 다른 도시로의 여행 금지라는 4가지 전파 컨트롤 대책들을 소개하면서 다른 도시로의 감염 확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과학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우한시 봉쇄는 다른 도시로의 감염 확산을 평균 2.91일 정도 늦춘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위의 4가지 효과적인 대책들을 강력하게 시행하여 최대한 지역 간 감염 확산을 늦춰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도 코로나 감염 확산 최소화를 위해 어느 정도 지역 간 이동 규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모든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여 미착용 시 대중교통 이용을 금지시켜야 하며, 특히 전철이나 기차역 주변 부랑자들의 감염 조사 및 방역 관리도 필요하다. 시외 및 고속버스는 비접촉 체온계를 활용하여 승객의 발열여부를 체크한 후 탑승케 하고, 일일이 확인이 어려운 버스터미널·전철역·기차역에서는 주요 통로에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무작위 발열체크 등을 통해 감염자들의 탑승을 막을 수 있는 예방체계를 갖추어야한다. 이젠 따뜻한 봄볕이 내리쬘 시기에 우리는 코로나19라는 미지의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투쟁하고 있지만, 언제나 그렇듯 이겨낼 것이라 믿는다.

지윤석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북부본부 안전관리처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