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본시가지 정비사업, 제21대 총선 ‘화두’

▲ 성남 본시가지 모습. 사진=성남시 페이스북
▲ 성남 본시가지 모습. 사진=성남시 페이스북

제21대 총선 성남 수정구ㆍ중원구 지역의 정비사업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출마자들이 앞다퉈 이와 관련된 공약을 내놓고 있다.

재개발ㆍ재건축 등 정비사업은 지역 발전 역할을 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으나 인구 감소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각 선거 캠프에서 공약 마련에 힘쓰고 있다.

24일 성남시 등에 따르면 현재 수정구에선 10개, 중원구에선 9개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됐으며 수정구 4곳, 중원구 6곳 등 총 10곳이 2030 정비계획에 새롭게 포함됐다.

지난 1960년대 말 서울 청계천 주민들의 강제 이주로 형성된 수정구와 중원구는 노후화된 주택이 밀집돼 있다.

지난 2010년 서울공항 고도제한 완화로 사업성이 상승, 오는 2022년 산성구역 등 3개 정비사업이 일반분양에 들어가는 등 사업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이로 인해 고향을 떠나는 주민들도 있는 게 사실이다.

일례로 66㎡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주택을 소유한 주민이 전용면적 84㎡의 아파트를 분양받으려면 평균 1억원을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대출 능력 부족으로 1억원을 마련하지 못해 결국 조합원 물량을 포기하는 주민들도 있다”며 “세입자들은 어쩔 수 없이 지역을 떠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비사업 원주민 재정착률은 30%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윤영찬 중원구 예비후보는 가장 먼저 ‘추정분담금 공개 시스템’ 도입을 약속했다.

윤 예비후보 측 관계자는 “정비업체마다 추정분담금 산정액이 다른 만큼 시에서 기준을 마련, 공개하면 원주민들이 사업 찬반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미희(중원구)ㆍ장지화(수정구) 민중당 예비후보는 서울공항 이전에 따른 정비사업 여건 마련을 강조하고 있으며 미래통합당 신상진 중원구 의원과 민주당 김태년 수정구 의원은 조만간 이와 관련된 공약을 발표한다.

신상진ㆍ김태년 의원 측은 현역 의원답게 “그동안 정비사업을 추진한 경험을 살리겠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염오봉 통합당 수정구 예비후보 등도 해당 사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성남 본시가지 지역이 분당구보다 낙후된 것은 사실”이라며 “노후화된 주택이 많은 탓에 정비사업이 필요하긴 하나 양날의 칼이어서 출마자 고민이 깊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성남=문민석ㆍ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