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사회적 재난에 대비한 인천시 공원정책

인천시가 지난 4일부터 2주간 코로나19의 지역감염 확산 방지와 사회적 거리 두기 동참을 위해 인천대공원 및 월미공원 등 주요 벚꽃 명소를 임시 폐쇄했다. 오는 19일까지다. 이 시기가 시민이 꽃구경 등을 위해 공원을 가장 많이 찾는 기간을 고려한다면 정말 쉽지 않은 정책 결정이다.

그러나 도시공원의 필요성은 코로나19 사태에서도 빛을 발한다. 주민들이 어린이 놀이터 등 밀도가 높은 공원시설을 이용하는 수치는 줄고 있다. 반면 코로나19 확산 후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시공원의 방문 횟수는 오히려 51%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고 접촉을 최소화하면서도 산책을 할 수 있는 도시공원의 효용성을 보면 장기간의 공원 폐쇄가 해답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앞으로가 문제다. 이번 코로나19와 유사한 전염병과 유행병의 확산 등 사회적 재난에 대비한 공원 확대 및 정책이 필요한 시점에서 인천시의 장기미집행공원 조성사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인천시는 5천641억원을 투입해 46개소 2.91㎢의 장기미집행공원을 새롭게 만들면서, 이번 코로나19가 남긴 교훈을 반영한 3가지의 공원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번째 계획은 도시를 치유하는 융합과 통섭으로 공원 기능을 확대하는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과 유행병의 확산 등 사회적 재난과 미세먼지, 도시홍수, 도시온난화 등 자연재난에 대비한 방재공원이 필요하다.

두번째는 시민들의 소통과 협치를 통한 공원계획 및 조성이다. 시민의 참여를 통해 공원을 계획하고 만들어갈 계획이다. 나아가 공원운영과정에도 참여할 수 있는 소통채널을 구축할 계획이다.

세번째는 걷기 좋은 도시, 걷기 좋은 공원을 위한 보행 인프라 구축이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 유지와 접촉을 줄이는 변화된 공원이용형태를 고려해 모두 46곳 2.91㎢의 새롭게 만들어지는 공원과 기존 공원을 연결하는 대규모의 보행 네트워크를 조성할 계획이다.

미국 교통&정책개발연구원(ITDP)은 “2050년까지 전 세계 도시인구는 7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도시를 보다 건강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해결책은 보행(Walkability)”이라고 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도심의 힐링공간으로 자리매김한 뉴욕의 센트럴파크는 지난 1857년 결핵과 같은 유행병, 마약, 폭동, 범죄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공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뉴욕 이브닝포스트의 편집장 브라이언트와 조경가 다우닝의 주장으로 생겼고 현재까지도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인천시도 구월동 중앙공원과 송도 글로벌파크의 보행육교와 같이 공원과 공원을 연결해 멈춤 없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보행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보해나갈 계획이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사회적 재난과 자연재난에 대비한 방재공원의 조성과 철저한 방역활동, 부분 통제 및 이용객의 분산을 위한 동선계획, 적정밀도와 수용력을 고려한 공원확대 정책과 체계적인 운영으로 시민이 필요로 하는 최적의 공원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권혁철 인천시 주택녹지국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