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 커뮤니티] 이 시국에 마스크 브랜드·디자인 따진다고?

코로나19 확산 이후 공적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고 있다. 경기일보DB
코로나19 확산 이후 공적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고 있다. 경기일보DB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없어서 못 샀던 마스크를 이제는 브랜드와 디자인을 보고 구매하려는 진상 고객이 있다는 호소에 많은 이들이 분노했다.

지난 2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공적 마스크로 약국에 시비를 걸지 말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에는 마스크를 구매하려 온 손님 중,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 행동을 하는 이른바 '진상 손님'들이 언급돼 있다.

글쓴이는 "약국에서 받고 싶은 마스크 골라 받는 거 아니다. 받기 전까진 마스크 사이즈도 모르고, 무슨 브랜드인지도 모르고, 색상도 모르고, 모양도 모르고, 개별포장인지 아닌디도 모르고, KF80일지, KF94일지도 모른다"며 글을 시작했다.

그는 "공적마스크 갖고 브랜드, 색상, 모양 따질 거 다 따지고 안 사는 사람은 집에 마스크가 많으신가 보다. 그럼 사질 마라"며 "브랜드, 디자인 따져 사는 거 코로나19 터지기 이전이면 이해하는데, 지금같은 시국에 그걸 약국에다 따지면 뭐 어저라는거냐"고 분노했다.

또 "마스크값 비싸다, 내려라 소리도 진절머리가 난다"며 KF94가 원래 온라인에서 벌크로 몇백원 했다는 건 코로나 이전 온라인 얘기고, 약국에선 코로나 터지기 전에도 원래 1매당 2~3천원 꼴이었다. 오히려 약국에서 예전보다 싸게 사가시는 거다. 마스크로 약국에서 폭리 취한다는 말 어처구니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최근 논란이 된 한 의약품 유통업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글쓴이는 "전국 약국에 마스크 배송하려면 애초에 그 회사가 최적이다. 코로나19 터지기 전부터도 약국에 약 배송하는 유통망으로는 가장 컸다"며 "약국 대다수가 그곳과 거래한다. 그나마 그 회사도 마스크 혼자 배송하려니 힘들어 다른 도매상에서도 배송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하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요즘 약국에서 이것저것 따지고 성질내고 가는 손님들 보면 이제 그런 거 따질만큼 사람들한테 마스크 여유가 생겼다 보다. 참 좋은 일이다"라고 덧붙였다.

대다수 누리꾼들은 "정신나간 사람들. 유럽 가서 종이 마스크 같은 거 받아봐야 정신차리지" "아베 마스크보다 천만배 낫다" "살 수 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생산, 유통, 약국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 등 글쓴이의 글에 공감하며 함께 분노했다.

한 누리꾼은 "너무 공감한다. 저희는 전화로도 물어본다. 오늘 무슨 색상인지, 개별포장인지, 80인지 94인지 사이즈는 어떤건지..."라며 "한 두 통이면 몰라도 수십통이 오니까 일일이 대답하기도 너무 힘들다. 민증없이 가족들 마스크를 달라는 사람도 있다. 이젠 자기 맘에 드는 거 없다고 고소한다는 아저씨들도 계신다. 빨리 모든 게 끝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공적 마스크는 27일부터 1인 3개 구매가 가능해진다. 정부는 마스크 재고량이 증가하는 등 수급이 원활하게 이뤄진다고 판단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약 1주일간 모니터링을 실시해 3개 구매를 지속할 지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대리구매 5부제 적용 기준도 완화된다. 기존에는 대리구매자와 대리구매 대상자의 구매 요일이 다른 경우 판매처를 두 번 방문해야 했으나, 이날부터는 둘 중 한 명의 구매 요일에 맞춰 한 번만 방문해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장영준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