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천 물류창고 화재 참사, 안전사회 멀었다

29일 오후 이천시 모가면의 한 물류창고 공사현장에서 불이 나 최소 38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다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이날 불은 폭발과 함께 지하에서 시작해 순식간에 건물 전체로 퍼지며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인명피해가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지하 2층 화물용 엘리베이터 주변에서 우레탄 작업과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을 하다가 불길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이곳에선 전기, 도장, 설비, 타설 등 분야별로 9개 업체 70여명이 작업을 하고 있었다.

화재 원인은 조사 중이지만 가연성 소재가 가득한 곳에서 화재 위험이 높은 작업을 하다가 벌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샌드위치 패널 등 가연성 소재에 불이 붙어 불길이 순식간에 건물 전체로 퍼졌고 연기와 유독가스가 많이 발생해 근로자들이 미처 탈출하지 못해 인명 피해가 커졌다. 이 건물은 아직 완공이 되지않아 스프링클러 등 소방시설이 충분하지 않았던 점도 피해가 커진 원인 중 하나다.

이번 참사는 2008년 40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천 냉동창고 화재와 비슷하다. 가연성 소재가 가득한 지하에서 작업하다가 벌어진 참사라는 점에서 판박이다. 당시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진 냉동창고 내부에 차 있던 유증기에 작업 도중 발생한 불티가 옮겨붙어 연쇄 폭발과 함께 순식간에 불길과 유독가스가 번져 근로자들이 속수무책으로 변을 당했다. 소방당국은 스티로폼과 우레탄폼 단열재가 내장된 샌드위치 패널을 대형 참사의 주범으로 꼽았다. 스티로폼이나 우레탄폼으로 된 샌드위치 패널 단열재는 유리섬유 단열재보다 가격이 싸지만 한번 불이 붙으면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한다.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진 물류창고는 ‘화약고’와 같다.

공사 현장에서 같은 원인으로 대형 화재가 되풀이 되는 것은 사고 이후 안전조치 등이 달라진 게 없다는 뜻이다. 이천 화재 현장을 찾은 정세균 국무총리의 말처럼 ‘뼈저린 반성’과 함께 이런 대형 화재가 반복되지 않도록 실질적 처방이 절실하다.

당국은 이번 화재 발생 경위부터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안전기준과 수칙은 제대로 준수했는지, 관계기관의 관리·감독은 적절했는지, 사고 대응에는 문제가 없었는지도 꼼꼼하게 되짚어 봐야 한다. 명확한 원인 규명을 바탕으로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대형 화재가 날 때 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하지만 비슷한 참사가 되풀이 되고 있다. 이런 어처구니 없는 사고가 반복되는 것을 보면 안전한 사회는 아직 멀었구나를 실감하게 된다. ‘생명과 안전이 먼저인 나라’는 말이나 다짐으로 하는 게 아니다. 사회 안전 시스템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비상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공사현장의 안전의식 강화도 중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