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지적복구 촉구
정전협정 이후 67년째 미등록 토지로 남아 있는 판문점 남측지역의 지적공부 생성이 시급(본보 7일자 6면)한 가운데 파주시민단체들이 ‘파주땅 회복’을 촉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 운동에 돌입해 관심을 끌고 있다.
파주시민참여연대와 파주시민주시민교육센터 등은 ‘평화가 시작되는 땅, 판문점의 주소를 찾아 주세요’라는 제목의 청와대 국민청원에 나섰다고 14일 밝혔다.
이들은 청원에서 “제3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판문점은 평화의 상징이 됐지만, 지금껏 주소가 없다”며 “주소가 없으니 국가정보원, 통일부 등도 각각 달리 표시하고 있는 실정인 반면 북한은 판문점 지역을 명확하게 행정구역에 포함시켜 ‘황해북도 개성특별시 판문점리’로 부여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통령은 국가 근간인 영토에 아직도 우리 지번으로 등록되지 않은 땅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판문점을 파주시 땅으로 회복해주 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정치권도 가세했다.
윤후덕 의원(파주갑)은 “판문점 주소부여는 ‘한반도 평화수도 파주’의 위상과도 연결된다”면서 “2년 전부터 촉구했고 이낙연 당시 국무총리가 바로 잡겠다고 했다. 파주시의 판문점 지적복구등록 노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정 의원(파주을)도 “판문점의 주소가 없는 것은 분단이라는 아픈 현대사의 산물이자 상징이다. 판문점을 파주시에 편입하는 것은 분단의 아픔을 치유하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면서 “국토부 등에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이 지역에 파주시 ‘평화리’라는 명칭이 부여 됐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파주시는 ‘판문점 남측 일원 지적복구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파주시의회는 조례 개정에 나설 계획이다.
최종환 파주시장은 “판문점 남측 일원 지적복구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겠다. 판문점을 세계 평화브랜드로 만들겠다”며 “정전협정일인 오는 7월27일 이전에 지적복구등록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손배찬 시의장은 “파주시와 함께 중앙부처에 관련 사항을 촉구하겠다”며 “파주시 행정구역으로의 편입을 위해 ‘파주시 읍면동리의 명칭 및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개정 등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