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형 연대안전기금, 지역경제 효자 노릇 톡톡

성남시 소비동향분석 그래프.사진=성남시 제공
성남시 소비동향분석 그래프.사진=성남시 제공

성남시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시민에 지원 중인 ‘성남형 연대안전기금’이 지역경제 활성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성남시는 지난 1월20일부터 3일까지 1천893억원 규모 성남형 연대안전기금의 소비 동향 데이터 분석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성남형 연대안전기금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10만원)과 성남시 재난연대 안전자금(10만원), 아동양육 긴급돌봄(40만원), 소상공인 경영안정비(100만원), 특수고용직·프리랜서 지원(최대 100만원) 등 대상별 보편적ㆍ핀셋 지원하는 시 정책 자금이다.

카드사 매출 증감 자료를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한 결과 연대안전기금 정책 시행 전 -29%까지 급락했던 소비율이 24% 증가해 전년 수준인 -5%를 회복했다.

소비율 감소가 정점을 찍은 시점은 신천지 교회 관련 코로나19 확진 환자 급증으로 감염병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지난 2월23일 격상된 이후 3월 첫째 주다.

소비율 감소는 각 분야 매출 하락으로 이어졌다. 학원, 어린이집 등 교육 분야 매출이 65% 하락해 피해가 가장 컸고, 패션잡화(47%↓), 문화 여가(46%↓), 숙박(44%↓), 가전 가구(40%↓), 생활 서비스(29%↓), 오프라인 유통(24%↓) 등의 순으로 매출이 떨어졌다.

이에 성남시는 코로나19 대응 민생경제 TF팀을 구성하고 시의 가용역량을 총 결집한 성남형 연대안전기금을 지난달 9일부터 시민에 지급하기 시작했다. 이후 소비가 점차 늘어 4월 셋째 주 전년 수준을 회복했다.

식료품(46%↑)의 오프라인 유통과 미용, 애완동물 등 생활 서비스(15%↑), 소매점(6%↑), 패션잡화(4%↑) 등 소상공인 주력 업종의 매출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수정ㆍ중원지역은 전년 대비 21% 감소했던 매출액이 연대안전기금 지급 이후 최대 11%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성남시 관계자는 “성남형 연대안전기금 정책이 초석이 돼 경제 위기 극복의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발적인 기부와 소비 지출로 호응해 준 시민들이 있어서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성남=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