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지원정책, 디지털 전환 지원 거점 필요"

평택경제 활성화 토론회서 경기연구원 김군수 박사 주장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코로나19 위기 이후 경제활성화 방안 찾기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평택의 소상공인 지원 중장기 정책으로 “소상공인 대상 디지털 전환 지원 거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 김군수 박사는 26일 평택시가 주최하고 평택대학교 국제물류해양연구소가 주관한 ‘포스트 코로나, 평택경제 활성화 토론회’에서 “코로나19 이후 산업 패러다임이 비대면 서비스 선호로 온라인화가 가속될 것”이라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김군수 박사는 “소상공인은 디지털 전환의사가 9.0%, 디지털 전환 의사가 없는 비중이 81.6%”라면서 “디지털 전환 지원 거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박사에 따르면 현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소상공인에 대해 소공인직접지 중심으로 전국 31개소 소상공인특화지원센터를 통해 교육, 컨설팅, 공동사업 등 지역특성별로 맞춤형 현장서비스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소매업, 숙박업 등에 대한 디지털전환 지원거점은 부재한 상황이다.

김 박사는 “평택시가 경기도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협력해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박사는 중장기 ‘중소제조업’ 지원 정책 방안으로 “기업의 원격근무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워크 스테이션’ 구축ㆍ운영의 필요성”도 제안했다.

그는 “평택시는 경기도와 함께 스마트워크 스테이션을 조성해 원격근무 솔루션 개발과 함께 출퇴근 시간은 물론 비용절감, 교통체증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는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백운만 청장의 기조발표와 평택대 조현수 교수의 주제 발표에 이어 이시화(평택대) 교수를 좌장으로 김동현(평택대) 교수, 한국지역연구협동조합 김원봉 이사장, 평택문화재단 이상균 대표, 평택상공회의소 이광형 국장,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 홍진동 과장이 토론자로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