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 호국보훈의달 6월 역사현장 깃든 지역 소개

가평지역에는 한국전쟁 당시 호국영령들의 숨결이 깃든 역사의 현장이 많아 호국·안보·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은 호국 보훈의 달 6월을 맞아 나라를 지킨 별처럼 많은 호국영웅에 대한 마음가짐을 되새기면서 이들이 잠든 전적비를 소개한다.

▲영연방참전기념비

가평읍 읍내리 부지 2천777㎡에 높이 12m인 초대형 석조물로 1967년 9월 유엔한국참전국협회와 가평군이 건립했다.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연방 4개국 장병이 정의의 십자군으로 한국에 파견돼 성난 파도와 같이 밀어닥치는 적과 치열한 격전을 치러 자유민주주의를 지켜낸 용사들에게 바치는 기념탑이다.

▲가평지구 전투전적비

가평읍 읍내리에 위치했으며 1951년 1월부터 2월25일까지 제5사단과 제6사단 등이 미군 제9군단과 함께 중국군 제39군, 제40군 및 북한군 제10사단을 맞아 격렬한 전투를 벌여 아군의 전세가 유리하게 전개되는데 기여했다. 해발 148m 늪산 정상에 가평지구 사수를 기념하기 위해 1958년 3월 건립됐다.

▲용문산전투 가평지구 전적비

설악면 천안리에는 한국전쟁 사상 국군 최대의 전과를 올리고 사주방어의 신화를 창조한 용문산대첩을 기념하는 전적비가 세워져 있다. 휴전을 거부하던 적이 막대한 손실을 입고 휴전을 제의하지 않으면 안 될 한국전쟁의 명암을 가르는 분수령이 됐다. 전선을 현재의 휴전선상으로 북상시키는 결정적 계기도 조성했다. 이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1997년 6월 건립됐다. 용문산대첩은 1951년 5월17일부터 21일까지 제6사단 용문산연대 전 장병이 결사항전에 돌입, 중국군 제63군 예하 3개 사단(2만여 명)을 격멸한 전투로 미 육군사관학교 전술교범에 사주방어 성공사례로 기록돼 있다.

▲캐나다군 참전기념비

북면 이곡1리에 참전 국가 중 다섯번째에 이르는 많은 병력을 파견한 캐나다 참전기념비가 있다.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의 일원으로 파병된 캐나다군의 가평지구전투(1951년 4월24~25일)를 기념해 1975년11월 건립됐다. 1952년 4월 가평전투에서 중국군 제20군 예하 부대와 치열한 격전을 벌여 677고지를 사수, 중국군이 춘계공세를 가평 북쪽에서 차단하는 전과를 거뒀다.

▲호주, 뉴질랜드 전투기념비

호주군과 뉴질랜드군이 합동으로 북면 목동리에서 적과 대치하며 일진일퇴의 공방전을 벌였던 전투를 기념해 1963년 세워졌다. 호주군과 뉴질랜드군은 인명피해에도 굴하지 않고 싸워 적을 무찌르고 승리했다. 청정지역인 북면에 위치, 산자수려한 자연환경에 흠뻑 취해볼 수 있다.

▲미국참전 기념비

1951년 5월26일 미 제40사단 예하 213 야전포병대대는 북면 이곡리에서 단 한명의 피해도 없이 중국군 400여명을 물리쳐 지금도 ‘가평의 기적’으로 불렸던 가평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2016년 세워졌다. 미국 성조기 모양의 주탑과 프랭크 데일리 중령의 통솔 아래 중국군을 대파한 미 제213 야전포병대대 전공을 기리는 기념동상과 제2사단·제40사단 표지석, 그리고 ‘자유는 공짜로 주어지지 않는다(Freedom Is Not Free)’는 문구가 새겨진 기념석 등으로 구성됐다.

가평=고창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