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대 안양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이 최근 불거진 불법선거 논란(본보 17일자 8면)과 관련, 해당 논란에 대해 공식 사과하는 한편 ‘실질적으로 자유의사에 의한 투표’라고 해명했다.
사전에 투표용지 내 ‘기명 위치’를 논의하기는 했으나 이는 정치적 의견이었을 뿐 실행에 옮기지 않았다는 주장인데, 개표에 참여한 감표위원의 증언과 엇갈려 논란이 증폭될 전망이다.
민주당 시의원들은 21일 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후반기 의장 선거를 둘러싸고 빚어진 일련의 상황에 대해 많은 시민분들께 염려를 끼친 점, 이유를 불문하고 진심으로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이들은 “경선을 통해 정맹숙 의원을 민주당 의장 후보로 합의했으나 이에 불복한 시의원이 상대 정당과 모의해 의장에 출마했다”면서 “경선 결과대로 선거를 이끌어 나가는 과정에서 정치적 회의내용이 유출돼 많은 논란을 빚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기명 비밀투표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합리적 의심이 들게 했다는 건 인정하지만 실질적으로 자유의사에 의한 투표였다”고 해명한 뒤 “신임 후반기 의장의 사퇴 문제는 안양시의회 내 법적 제도적인 방법을 통해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 시의원은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투표용지 기명 위치 배번’ 논의와 관련, “선거 전에 그러한 논의가 있었지만 정치적 발언이었을 뿐”이라면서 “잘못된 관행이어서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한 방식에 동참하지 않은 의원도 있었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민주당 측의 해명이 의장 선거 당시 개표에 참여했던 개표위원의 증언과 엇갈려 논란이 한층 증폭될 전망이다.
개표에 참여했던 김필여 미래통합당 시의원은 최근 법원에 제출한 진술서를 통해 “투표용지 중간에 후보자 이름을 쓰는 게 통상적인데 용지 상, 하, 좌, 우 등에 치우쳐 작은 글씨로 후보자의 이름을 쓴 게 많아 이상하다는 것을 느꼈다”며 “정확하게는 기억하지 못하지만 8매가량이 그렇게 표기됐다”고 진술했다.
이어 “분명히 의도된 행위로써 기명 위치를 사전에 정했을 것이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면서 “함께 감표했던 시의원도 확인한 사실”이라고 밝혔다.
앞서 시의회 다수당인 민주당은 지난 3일 실시된 후반기 의장선거에서 특정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시의원별로 투표용지 내 기명 위치를 사전에 지정한 정황이 드러나 논란을 빚었다. 이에 안양지역 시민ㆍ사회단체들은 의장 재선거와 당 차원의 공식 사과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시민정의사회실천위는 지난 15일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 방해 및 공모공동정범죄 등의 혐의로 민주당 소속 안양시의원 12명을 수원지검 안양지청에 고발한 바 있다.
안양=한상근ㆍ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