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영국의 엑시터대 렌튼 교수는 티핑포인트를 우려했다. 티핑포인트는 지구온도가 1~2℃ 상승하는 사이 기후변화 현상이 서서히 진행되다 갑자기 한쪽으로 기울듯 어느 한 순간에 폭발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시점이다. 다른 연구자들도 기후변화가 서서히 진행되다 갑자기 나타날 거라 했었으나 이젠 늦었다며 우리는 이미 지구기후를 제어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세계적인 기상학자들의 견해에 의하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온난화를 억제하고 급격하게 변하는 기후를 되돌리기에는 이미 늦었다고 했다.
19세기 말 이후 인간들은 생활의 편리함만을 추구 지나치게 자동차를 운행하는 등 경제활동을 하며 석유 등 화석연료를 다량으로 사용해 그 과정에서 대기 중으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너무 많이 배출했다. 2019년 현재 임계점인 430ppm에 육박 지구 온도가 1~2℃ 를 상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자들은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급속히 녹아 사라지고 일부지역에서는 비가 오지 않아 사막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에서는 자연발화 등으로 산림이 다량 훼손돼 기후변화 현상이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고 했다. 그런 지구 온난화 영향을 막을 수 있어야 하는데 티핑 포인트 현상 때문에 그렇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앞으로 지구에 기후가 몰고 올 자연재앙을 막기 위해서는 대기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철저하게 감소시켜야 한다. 그리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소멸시키는 중요한 수단인 나무를 보다 많이 가꾸도록 해야 한다.
나무는 햇볕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 기온을 낮춰주고, 또 물을 저장 수해를 예방함은 물론 물을 필요로 할 때 공급해 주고,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탄소동화작용으로 사람이 필요로 하는 산소를 발생 시켜 공급한다. 뿐만 아니라 물에 녹아 있는 광물을 흡수해 그것들로부터 단백질, 탄수화물, 포도당, 아미노산 등을 만들어 낸다.
문제는 인간이 대기 중으로 이산화탄소를 다량 배출하는 것이다. 게다가 산소를 공급하는 열대우림이 대폭 감소하는 점이다. 아마존 강 유역의 열대원시림을 보존하는 일은 브라질 등 유역국 아홉 개 나라만의 일이 아니다. 인류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할 일이다. 뿐만 아니라 급속도로 녹고 있는 남극의 빙하와 고산지역의 만년설, 그린란드의 빙하 북극해빙 등이 급속히 녹아 없어지는 것을 막아 보존하는 일에 세계 각국 모든 인류가 함께해야 한다.
현대인류 모두는 대기 중 증가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와 아마존 강 유역의 열대원시림 훼손 그리고 지구 곳곳의 사막화 등을 막는데 집중해야 한다. 그렇게 했을 때만이 기후가 몰고 올 지구의 미래를 밝게 할 수 있다. 그것 인류 모두의 몫이자 세계 각국 지도자들의 몫이다. 그 길만이 티핑 포인트 우려에서 벗어 날 수 있다. 지금 우리가 겪는 유례없는 장마와 폭염이 모두 지구환경오염 때문임을 똑똑히 알아야 한다.
한정규 문학평론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