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시 농어촌폐기물종합처리장 운영을 맡은 강천면매립장주민협의체(이하 주민협의체)와 여주시가 불법 야적된 산업폐기물 수백t 처리를 놓고 갈등을 빚으면서 10일 간 쓰레기 반입이 중단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여주시와 주민협의체 등에 따르면 여주시 농어촌폐기물종합처리장 3단계 개발부지에 수 년 전간 산업폐기물(혼합폐기물) 수백 t이 불법 야적돼 환경오염 등이 우려된다며 주민협의체가 지난 19일 처리장 쓰레기 반입을 중단시켰다.
반입이 중단되자 여주시 전역에서 매일 배출되는 쓰레기를 12개 읍ㆍ면ㆍ동 지역과 하동 야적장에 10여 일 방치하기에는 어려운 상황, 이에 시는 주민협의체와 수차례 간담회를 개최한 결과 불법 야적된 폐기물을 27일까지 처리하는 선에서 조건부 반입허용을 받았다.
이에 따라 시는 방치된 폐기물 수백t을 예산범위 내에서 환경전문업체인 이천 삼성환경 등에 처리하고 남은 잔량은 환경오염방지 시설이 완비된 곳으로 처리, 지난 28일부터 쓰레기 반입이 허용돼 10여 일간 방치됐던 쓰레기를 처리해 대란은 피했다.
하지만 수년간 불법야적된 산업폐기물 등의 침출수로 인한 남한강 상수원 환경오염 문제는 답을 내지 못하고 있다.
주민협의체 관계자는 “지난 18일 장기간 불법 야적된 산업폐기 문제를 제기해 19일부터 여주시에 쓰레기 반입을 전면 중단하고 불법 야적된 산업폐기물을 27일까지 처리해 줄것을 요구했다”며 “불법 야적된 산업폐기물 반출이 예정보다 늦어지면서 강천매립장 쓰레기 반입도 10여일 중단돼 쓰레기 대란 위기에 처한 상태에서 지난 28일부터 조건부 반입 재개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불법 야적된 장소는 쓰레기 매립장 내지만 이번 문제가 된 구역은 주민들과 협의가 되지 않은 구역으로 어떠한 쓰레기도 야적이나 처리해서는 안 된다”며 “문제의 불법 폐기물에 대한 부적절한 시의 행정에 대해 지난해 1월부터 수차례 문서로 시정할 것을 촉구했다”고 덧붙였다.
주민협의체는 지난 26일 이항진 시장과 간담회에서 쓰레기매립장 영향지역을 반경 2Km 8개 리로 정할 것인지 아니면 13리를 추가한 기존 21개 리 마을로 정할 것인지에 대한 답변을 다음 달 초까지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시장 답변결과에 따라 쓰레기 반입 중단에 대한 가부 논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언제부터 산업폐기물이 불법야적된 시기는 알 수가 없으며 폐기물 야적으로 인한 남한강 상수원 환경오염 문제는 없는것으로 안다”며 “문제의 폐기물은 대형폐기물(침대 매트리스) 등이 반입되면서 섞여 들어오거나 불법 투기 폐기물 등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여주=류진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