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70년 가까이 머물러 있었던 단원 김홍도의 작품 ‘공원춘효도’가 우여곡절 끝에 마침내 고국으로 돌아온다.
더구나 ‘공원춘효도’의 귀착지가 단원 김홍도의 고향인 안산이어서 의미를 더하고 있다.
23일 서울옥션에 따르면 전날 열린 제157회 경매를 통해 ‘공원춘효도’가 4억9천만원에 낙찰됐다.
그동안 환수를 추진해온 안산시가 경합 끝에 작품을 낙찰받았다. 경매 시작가는 4억원이었다.
안산시는 앞서 지난 4월에도 단원 김홍도의 ‘여동빈도’를 낙찰받는 등 그동안 단원의 작품을 꾸준히 사들여 단원미술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단원 김홍도의 고향인 안산에는 단원의 예술세계를 기리기 위한 공간인 단원미술관이 건립돼 운영되고 있으며,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안산은 단원이 20대 초반까지 그림을 배우고 성장한 고장이다.
이곳에선 지난 1999년부터 매년 단원미술제를 여는 등 단원의 도시임을 알려오고 있다.
‘공원춘효도’는 조선시대 과거시험이 열리는 날 풍경을 담은 그림으로 과거 시험장을 주제로 한 단원의 유일한 작품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인 지난 1952년 미군이 구매해갔고, 지난 2005년부터 미국 현지 골동품상이 소장했다. 68년 동안 미국에 있었던 작품이 이번 경매를 통해 환수된 셈이다.
윤화섭 안산시장은 “작품을 미국에서 단원의 고향인 안산으로 환수할 수 있게 된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며 “코로나19로 어려운 과정을 거쳐 들여온 작품이다. 단원미술관 등을 통해 공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서울옥션 경매 낙찰 총액은 약 71억원이고 낙찰률은 72%를 기록했다. 이중섭의 ‘아버지와 장난치는 두 아들’은 10억원에 경매를 시작해 11억원에 낙찰됐다.김환기의 ‘내가 살던 곳’은 12억원에 경매를 시작해 14억원에 새 주인을 찾았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