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교육지구 지정에 남양주시만 느림보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교육계가 혁신교육지구 지정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24일 시와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 등에 따르면 경기도 31개 시ㆍ군 중 남양주시를 제외한 30개 시ㆍ군이 혁신교육지구를 운영 중이다. 내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5년간 운영될 혁신교육지구 ‘시즌 3’에도 나머지 타 지자체는 합의서를 제출한 상태다. 내년 1~2월 중 각 지자체와 교육청이 MOU를 체결하면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이런 가운데, 남양주시만 아직 교육지원청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혁신교육지구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해 경기도교육청과 지자체가 협약으로 지정한 지역을 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지역은 기초 단체장과 지역 교육지원청 교육장 등이 혁신교육지구 신청에 합의해야 한다. 교육감은 합의 이후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혁신교육지구로 지정하도록 돼 있다.
앞서 박은경 시의원은 지난해 10월17일 시정질의를 통해 혁신교육지구 지정이 진행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집행부 답변을 요구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혁신교육지구는 ‘교육중심도시 건설’이라는 시 목표와도 부합된다”며 “2020학년도부터 추진하고자 교육청과 협력,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답변한 바 있다.
박 의원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올해 지정되지 않은 이유로 교육청과의 협의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시의 답변을 들었다”면서 “교육청을 찾아 자세한 내용을 들어볼 계획이다. 남양주시만 지정이 늦어지는 상황이 답답하다”고 말했다.
지역 A교사는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지역 교육계가 계속 혁신교육지구사업을 준비해왔다”면서 “지역 교육자원 활용을 위해서라도 시가 지정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시는 보다 체계적이고 세밀하게 준비해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업계획에 대한 교육지원청과 이견이 있어 합의가 늦어지고 있지만 협의를 계속 진행해 지구 지정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교육지원청과 계속 협의하면서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구리남양주교육지원청은 최근 협의에서 보다 빠른 지구 지정을 위해 우선 큰 틀에서 합의부터 하고 세부적인 계획에 대해 논의하자고 제안했지만, 시는 세부 내용을 먼저 협의하자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
남양주=심재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