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교통공사 남양주 유치를 희망했던 시민들이 유치가 불발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특조금 문제’ 등 그간 경기도와 남양주시 갈등이 선정에 영향을 미친 게 아니냐는 불만도 제기했다.
경기도는 지난 23일 5개 도 공공기관 주사무소 최종 입지를 선정해 발표했다. 경기교통공사 주사무소 최종 입지로는 양주시가 결정됐다.
경기교통공사 유치전에 뛰어든 남양주시는 물론이고 공사 유치에 대한 열망과 의지를 표출해왔던 시민들은 유치가 불발되자 허탈감에 빠졌다.
그간 시민들은 유치위를 발족하고 공사 유치를 위한 온라인 서명운동을 펼쳐 시민 1만명 이상 서명부를 도와 지역 국회의원 등에게 전달하며 유치전에 힘을 보태왔다. 시의회도 지난 9일 ‘경기교통공사 남양주시 유치 건의안’을 채택하고 “공사 유치를 71만 남양주 시민의 염원을 담아 간곡히 건의한다”고 지원사격에 나선 바 있다.
시는 3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등 현안 처리는 물론 경제적 효과와 시 이미지 제고 등을 기대하며 공사 유치를 위해 온 힘을 기울여왔으나 유치 불발로 모두 허사가 돼 아쉽다는 입장이다.
시민들도 안타깝고 속상하다는 반응이다. 시민들은 공사 유치로 남양주가 경기도 교통 컨트롤타워가 된다면 9호선과 6호선 남양주 연장도 추진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왔다.
유치위 관계자는 “3기 신도시가 포함됐고 접근성이 뛰어난 남양주가 최적의 입지라는 사실은 경기도도 알고 있을 것”이라며 “시중에 떠돌던 ‘양주 내정설’이 현실화됐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다산2동 시민 A씨는 “그간 계속돼 온 경기도와 남양주시 갈등이 선정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는 시민들이 많다”면서 “인구로 보나 위치로 보나 공정한 심사였다면 남양주시가 됐을 것”이라며 아쉬워했다.
별내동 시민 B씨는 “유치를 기대하며 서명에 동참한 시민들의 바람이 물거품이 됐다”면서 “그러나 결과는 결과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남양주=심재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