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시민들이 수석대교 4차선 건설에 결사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 본격 행동에 나서고 있다. 지금까지 남양주시와 시민들은 최소 6차선 수석대교 건설 없이는 왕숙신도시 광역교통대책은 절름발이 정책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14일 남양주 다산신도시총연합회(다산총연)는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지구 추가 광역교통개선대책 및 수도권 동북부의 교통개선’에 관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앞서 하남시가 지난달 28일 선동IC 개선, 강일IC 우회도로 개설, 올림픽대로 10차로 확장, 지하철 9호선 조기개통 등 4개 교통대책 동시 추진을 전제로 수석대교 건설을 받아들이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한 대응이다.
다산총연은 성명서를 통해 “수석대교 등 상생의 교통대책을 선택한 하남시의 결단을 환영한다”면서 “하지만 하남 미사지구 일부 주민의 계속된 반대로 수석대교가 기존 6차선에서 4차선으로 축소되고, 남양주 왕숙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축소, 지연되는 건 지역이기주의”라고 비판했다.
이어 “국토부가 왕숙지구 광역교통 분담금을 투입, 하남 미사지역의 교통개선을 진행하는 건 지역이기주의에 휘둘린 무책임한 교통대책”이라며 국토부에 ‘수석대교 8차선 확장’과 ‘남양주-하남 직결’ 등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수석대교로 교통량이 폭주한다는 하남 미사지역 주민들의 우려가 크다면 수석대교는 6차선의 원안이 아니라 오히려 8차선으로 확장돼야 한다”며 “수석대교가 4차선으로 축소된다면 하남 미사지구 교통개선에 사용되는 교통분담금 투입 철회와 하남 미사지역을 제외한 9호선 남양주 연장안을 관계 기관에 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왕숙지구 교통대책 축소 및 변질의 근본적인 원인은 수석대교 4차선 건설로 광역교통 분담금을 절감하려는 LH가 왕숙지구 단독 사업시행자로 독주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GH를 왕숙지구 공동사업자로 참여시켜 LH를 견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진환 다산신도시총연합회장은 “수석대교 4차선 축소는 남양주 시민 누구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미래를 내다봐야 하는 교통정책이 오히려 축소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그간 다산총연은 지하철 9호선의 남양주 연장을 포함한 왕숙지구 교통대책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며 국토부, 남양주시, LH, GH 등과 지속적으로 협의해왔다. 이들은 성명서 발표를 시작으로 ‘수석대교 4차선 절대 불가’를 내용으로 한 민원운동, 국토부 면담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남양주=심재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