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무기 보유ㆍ실험ㆍ도입 중단하라
평택평화시민행동은 20일 평택시 팽성읍 소재 캠프 험프리스(K-6) 윤게이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한미군은 모든 생물무기 보유·실험·도입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평택평화시민행동은 임윤경 집행위원장 사회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주한미군은 지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에서의 생화학무기프로그램을 진척시키기 위해 2천752만달러의 미 국방성 예산을 투입하고, 3차례 샘플을 반입해 실험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 8월17일 미 군수업체인 ‘헌팅턴 잉겔스’는 회사 누리집에서 부산항 8부두, 평택 험프리 기지, 대구·왜관 캠프 워커, 서울 용산 미군기지, 진해 해군기지 등지에서 일할 ‘센토 생물 매개체 표본 수집·분석가’ 채용공고를 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주한미군의 생물무기 실험이 방어용이든 공격용이든 지구상 그 어디에 존재하는 것을 반대한다”면서 “당장 한반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체결해 탄저균 등 세균무기 실험장에서 벗어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우선 평택미군기지 2곳에 미군의 생물무기 샘플 반입사실을 알았으니 정부와 평택시는 시민의 생명안전을 위해 긴급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평택시의회는 올해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미군기지 환경감시조례에 따라 평택시가 제대로 감시했는지 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택평화시민행동은 기자회견문 발표 후 트럼프 미 대통령 몸에 세균을 의미하는 딱지를 붙이고 구호를 외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앞서 지난 8일 질병관리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선 주한미군이 지난 2017년 11월9일, 지난 2018년 10월15일, 지난해 1월9일 등 3차례에 걸쳐 부산항 8부두, 군산, 오산, 평택 미군기지 등지에 생화학공격방어체계 구축을 위한 생물학 샘플을 반입한 사실이 알려졌다.
정부는 이에 반입된 샘플이 모두 독성을 제거한 톡소이드로 국내 의료·산업계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주한미군이 현행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규정상 톡소이드 반입을 한국 정부에 알릴 의무가 없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한편 평택평화시민행동은 더피플, 미군기지환수연구소, 민주노총평택안성지부, 평택농민회 등 18개 시민단체와 정당 등으로 구성됐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