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산하 공공기관장 인사청문 대상기관을 12곳에서 15곳으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공공기관의 경영투명성을 높이고자 협의된 것으로,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공공기관장에 대한 정책검증에 집중해 도민에게 양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복안이다.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3일 경기도의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공공기관장 인사청문 확대 업무 협약식’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장현국 경기도의회 의장, 박근철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 공공기관 인사청문 대상은 기존 12개(경기연구원ㆍ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ㆍ경기신용보증재단ㆍ경기도일자리재단ㆍ경기주택도시공사ㆍ경기문화재단ㆍ경기아트센터ㆍ경기관광공사ㆍ경기콘텐츠진흥원ㆍ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ㆍ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ㆍ경기복지재단)에서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설립예정인 경기교통공사,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등 3개 기관이 추가돼 총 15개 기관으로 늘었다.
이와 함께 그동안 ‘도덕성 검증’, ‘정책검증’으로 이원화 됐던 방식을 정책검증으로 통합하고 가족관계증명서, 재산보유현황서, 병역사항현황서 등 개인정보 성격의 서류를 기존 17종에서 11종으로 대폭 축소했다.
경기도는 이 같은 청문 방식의 변화가 도민이 공감할 수 있는 합리적인 ‘경기도형 인사청문 제도’로 자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근철 대표는 “경기도는 지방의회 최초로 인사청문회를 시작하며, 도민의 알 권리를 위해 노력해왔다”며 “인사청문회에서 꼼꼼한 정책 검증을 통해 1천370만 도민의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현국 의장은 “공공기관은 도민의 삶에 가장 가까이 있는 기관으로 인사청문회를 통해 능력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정책에 대한 자질과 업무이해도, 수행능력 등을 세심하게 살펴 자치발전에 도움이 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재명 지사는 “경기도의회와 경기도 집행부가 인사청문회에서 정책검증에 집중하며 전국에서 모범적인 사례를 만들어 내고 있다”면서 “경기도 집행부는 정책적 역량이 뛰어난 자원을 쓰기 위해 노력하겠다. 경기도의회도 견제와 감시를 통해 훌륭한 인재들이 임명되도록 도와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