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가 삼정동에 수소충전소를 설립키로 하자 주민들이 안전문제를 이유로 반대하고 나섰다.
지역 여론도 찬반으로 나눠져 정치적 논란으로 비화될 조짐이다.
4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 6월말 완공계획으로 삼정동 70의41 일원 부지 2천여㎡(현 삼정2호 공영주차장)에 국ㆍ도비와 시비 등 41억5천여만원을 들여 하루 승용차 91대와 버스 3대 분량의 수소가스 공급능력을 갖춘 수소충전소를 건립키로 했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9월 중순 온라인 주민설명회를 통해 수소충전소와 수소에너지 안전성을 설명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발로 간담회 형식으로 주민들 의견만 청취했다. 시는 또 지난달 13일 충전소 사업설명회를 열기로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주민들은 수소충전소의 안전성 문제보다는 혐오시설을 건립하는데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한 것에 반발하며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도 주민들이 내동 가스폭발사고 트라우마를 또다시 겪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국회의원(부천정)은 SNS를 통해 “수소정책은 지지한다. 부천에 수소충전소가 필요하다”면서 “그러나 주민들의 의견청취와 동의가 생략된 충전소 설치과정은 찬성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지역 권유경 시의원도 “주민들은 쓰레기소각장과 열병합발전소 등 혐오시설로 온갖 불편을 감내하며 살아왔다. 특히 내동 가스폭발사고 트라우마를 안고 사는데 또 다시 수소충전소가 들어선다면 당연히 반발할 수 밖에 없다”면서 “아무리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해도 주민들을 이해시키고 설득하는 과정이 없었다는 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방통행식 행정”이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이 같은 반발이 일자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국회의원(부천갑)은 SNS를 통해 “수소충전소는 수소폭탄이 아니다. LPG충전소보다 더 안전하다”며 “부천의 도로 위 미세먼지대책은 수소차 보급만큼 효과적인 게 없다”며 장덕천 시장에게 충전소를 빨리 건립해 줄 것을 요구했다.
장덕천 시장은 “수소버스 1대면 SUV차량 40대분의 미세먼지를 제거한다고 한다. 수소충전소를 잘 추진해 보겠다”며 수소충전소 건립을 정당화했다. 수소충전소 건립을 놓고 주민들과 지역 정치권이 찬반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정치권 갈등으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부천시 관계자는 “수소충전소로 해당 부지가 가장 적합하다. 환경부 갈등위원회 협조를 받아 주민들을 최대한 설득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