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자체매립지의 명칭을 ‘인천에코랜드(eco-land)’로 정했다고 5일 밝혔다. 에코랜드는 환경을 의미하는 에코(eco)와 땅을 의미하는 랜드(land)의 합성어로 ‘친환경적으로 조성하는 땅(부지)’을 뜻한다.
인천에코랜드는 ‘폐기물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라 인천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할 필수시설 중 하나다.
인천에코랜드는 현재의 직매립 방식이 아닌 친환경 방식이다. 시는 친환경 방식을 강조하는 것은 물론 매립지라는 단어가 주는 거부감을 없애려 이 같은 이름을 택했다. 시 관계자는 “많은 시민이 그동안 수도권지역의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을 직접 매립하는 수도권매립지에 익숙하다보니 자체매립지도 같은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인천에코랜드는 수도권매립지와는 규모부터 매립시설 형태까지 모든 것이 전혀 다르다”고 강조했다.
인천에코랜드는 부지면적이 15만㎡ 미만이고, 용량도 234만㎥ 규모로 수도권매립지의 10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매립시설은 4단계로 나눠 만들어진다. 실제 매립시설은 1단계 용량인 60만㎥ 내외로 조성한다. 특히 현재와 같이 생활폐기물을 직매립하는 방식이 아니라 생활폐기물을 소각한 후 발생하는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매립한다.
또 시는 분리수거 확대, 생활폐기물 소각재·하수슬러지 소각재의 벽돌 및 보도블록 재활용 등 폐기물 정책방향을 변경해 1일 약 161t의 소각재와 불연성폐기물만 반입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20t 트럭 8대 분량에 불과하다. 또 2019년 기준 수도권매립지 1일 생활폐기물 반입량(약 2천164t)의 7.4% 수준이다. 시의 예상대로라면 단계별로 10년씩 약 40년간 사용할 수 있다.
오흥석 교통환경조정관은 “인천시민의 바람인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와 폐기물처리 정책 대전환을 위해서는 반드시 인천에코랜드 조성이 필요하다”면서 “이에 대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시는 최근 공모·용역 등을 통해 후보지 3~4곳을 선정했으며 박남춘 인천시장은 오는 12일 최종 후보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