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광역소각장 건립 반발 거세…난항 예고

부천 대장동에 대규모 광역소각장 추진계획이 알려지자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10일 부천시에 따르면 부천시 벌말로 122 자원순환센터(대장동 쓰레기소각장) 내 7천78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부천과 인천, 서울 강서구 등지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광역소각장을 오는 2028년까지 건립키로 하고 인천시ㆍ서울 강서구와 11일 협약식을 열기로 했었다.

하지만 서영석 부천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과 시의회, 지역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서면서 협약식은 무기한 연기됐다.

인천에 위치한 수도권 쓰레기매립장이 오는 2025년까지 폐쇄된다. 이에 대장동 쓰레기소각장의 시설 현대화가 요구돼 왔다. 특히 대장신도시 개발에 따른 소각장 증설이 불가피해지자 인천 부평ㆍ계양구와 서울 강서구 등의 쓰레기를 함께 처리하는 소각장 광역화를 지하화로 추진해왔다.

현재 부천소각장의 하루 처리규모는 300t이다. 이를 하루 처리규모 900t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지자체별 처리규모는 부천 470t, 인천 300t, 강서구 130t 등이다. 사업비 분담은 국비 3천98억원과 지방비 3천98억원 중 부천시 886억원, 인천시 1천561억원, 강서구 651억원 등이다. 전체 사업비 중 나머지 1천560여억원은 대장신도시 개발시행자인 LH의 환경개선비와 원인자부담금 등으로 부담한다.

부천시와 인천시, 서울 강서구 등은 그동안 재원분담문제를 놓고 협상을 진행해오다 최근 재원분담 합의안을 도출하고 협약을 맺기로 했다.

그러나 일부 정치권과 지역주민들이 반발하면서 시가 협약식을 무기한 연기하고 뒤늦게 설명회를 열어 주민설득에 나서기로 하면서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심지어 시는 그동안 광역화 추진을 위해 인천시, 서울 강서구 등과 수차례 협상을 진행해오면서도 시의회 등 지역 정치권과 지역주민들에게 알리지 않고 밀실행정으로 일관해왔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서영석 국회의원은 “주민 동의 없는 사업은 진행하기 어렵다. 동의하지 않는다면 끊임없이 찾아가 사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설득해야 한다”면서 “주민들과 소통하며 합리적인 방안을 찾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장동 주민 이강인씨는 “부천 인구증가에 따른 소각장 증설문제라면 언제든 논의할 수 있다. 인천 계양구와 서울 강서구 쓰레기를 태우는 광역시설을 시가 앞장서 추진한다는 점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협약식이 무기한 연기돼 설명회를 통해 오정동과 신흥동 주민들에게 광역소각장 건립의 타당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천=오세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