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 정약용도서관이 국가균형발전계획과 신도시개발에 따른 개발수익이 시민들에게 환원되는 상생의 모델로 인정받았다.
15일 남양주시에 따르면 정약용도서관이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주관한 균형발전사업 평가 결과 자율계정부문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
정약용도서관은 공간의 혁신을 통해 미래 도서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다양한 문화·편의공간을 조성, 공공건축물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았다.
이번 평가는 재정자립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균형발전특별회계 지원금 20억원과 신도시 조성 관련 이익금 280억원으로 경기북부 최대규모이자 국내 6번째로 큰 도서관을 건립, 개발이익이 시민에게 환원되는 상생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균형발전사업 우수 사례를 모은 우수 사례집에선 정약용도서관의 성공 포인트로 우선 기존 도서관 개념을 탈피해 리빙룸 콘셉트의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성된 점을 꼽았다.
컨퍼런스룸, 세미나실, 대규모 공연장까지 갖춰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고 청년스타트업, 사회적기업에 공유 공간을 제공해 공공건축물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한 점도 성공 요인의 하나로 꼽힌다.
더불어 베이커리카페, 레스토랑, 편의점 등 편의시설 입점으로 수익을 창출은 물론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건축물과 스마트 운영시스템으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한 점도 장점이다.
그간 조광한 남양주시장은 언택트를 넘어 로컬택트로의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시는 남양주 안에서 일하고 즐기며 안전하게 생활하는 로컬택트 시스템의 하나로 지역 내 복합문화공간인 정약용도서관이 큰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조광한 남양주시장은 “책과 공간, 그리고 사람이 함께하는 정약용도서관을 통해 앞으로는 도서관이 읽고 공부하는 공간뿐 아니라 생각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기를 기대한다”며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사람·공간·산업이 조화를 이루는 균형발전정책을 계속 추진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남양주=심재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