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원주 전철 복선화사업 연구용역 결과 경제성 높게 나와

여주∼원주 전철복선화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주시는 최근 서울과학기술대에 여주∼원주 전철복선화(강천역 신설) 및 수도권 전철연장 타당성 검토연구 용역을 의뢰한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이 1.82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B/C가 1 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다”며“여주∼원주 구간에 강천역을 신설할 경우에도 B/C는 1.42로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총사업비 심의를 거쳐 여주∼원주 전철복선화를 타당성 재조사 대상으로 확정하고 재조사를 진행 중이다.

여주∼원주 21.95㎞ 구간은 동서철도망(인천 송도∼강원도 강릉) 전체 구간 가운데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유일하게 단선으로 추진됐다.

이에 여주시와 원주시는 교통취약지역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 등을 이유로 복선화를 주장해왔다.

복선화할 경우 사업비는 5천299억원에서 8천899억원으로 3천600억원(68%) 늘어나게 된다.

이항진 시장은 “여주∼원주 전철복선화의 경제적 타당성이 높게 나온 만큼 이번 용역 결과가 반영되도록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여주=류진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