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단상] 우리 모두 ‘기후 행동’에 나서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당선이 확정됐다는 뉴스를 보고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그동안 ‘세계의 리더’ 격인 미국의 대통령이라는 것을 믿기 어려울 정도로 막무가내식 발언과 행동을 일삼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때문에 속상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무엇보다 “취임 첫날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복귀하겠다”는 바이든 당선인의 약속이 반가웠다. 바이든 당선인은 기후변화 대응을 추진할 대통령 기후특사로 민주당의 대표적인 정치인인 존 케리 전 국무장관을 지명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7년 6월,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며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를 선언했다. 중국 다음으로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나라의 대통령이 195개국이 합의한 협약을 일방적으로 깨버린 것이다. 정말 어처구니가 없었다.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에서 채택된 파리기후변화협약의 핵심은 210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2℃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파리협약이 기존 기후 협약인 ‘도쿄 의정서’ 체제와 다른 점은 선진국뿐만이 아니라 협약에 참여한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지게 된다는 것이다. 협정에 따라 2021년부터 ‘신기후체제’가 시작되고, 전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지속해서 줄여 궁극적으로 ‘0’을 만들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임을 하고, 미국이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복귀하지 않았다면 ‘신기후체제’는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기후 위기 시대의 유일한 선택지는 ‘탄소 중립’이다. 지역에서 발생시킨 이산화탄소 배출량만큼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늘려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 중립’을 실현하려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국민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특히 지방정부가 탄소중립 정책의 주체이자 중앙정부의 든든한 협력자로서 실질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 코로나19라는 감염병 대응에 지방정부가 중심이 돼 ‘K-방역’을 만든 것처럼 기후 위기 상황에서도 지방정부가 주체가 돼 ‘세계도시 기후 위기 대응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 아무리 좋은 ‘탄소 중립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한다고 해도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없으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수원시는 최근 환경부, 유통ㆍ물류업체와 함께 ‘다회용 포장재 사용 시범 적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일회용 택배 상자 줄이기에 나섰다. 협약에 참여한 유통ㆍ물류업체는 권선구 지역에 물품을 배송할 때 다회용 수송 포장재를 사용한다. 또 수원 금곡동 주민들은 고체 세제, 면 생리대 등을 함께 만들어 사용하는 ‘우리 마을 제로 웨이스트(쓰레기 줄이기) 도전’ 사업을 하고 있다. 지방정부의 효과적인 정책과 시민들의 작은 실천이 ‘탈탄소 사회’로 전환하는 데 큰 힘이 된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늘 환경을 먼저 생각하며 살아가보자.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고, 가까운 거리는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가고, 양치할 때 컵을 사용하고,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고…. 우리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기후 행동’은 무척 많다. 모두가 노력한다면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먼저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나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염태영 수원시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