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의회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계획 전면 철회 요구

안산시의회가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의 전면 철회를 촉구하며, 전 세계 해양 오염이 예견되는 만큼 국제적 협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일 시의회에 따르면 최근 개회된 정례회 본회의에서 김진숙 의원은 ‘일본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계획 전면철회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한데 이어 이 같은 뜻을 대외적으로 밝혔다.

결의안은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지진으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수소폭발과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했으며, 폭발한 제1원전에서는 일일 평균 160~170t의 방사성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후 오염수 저장 용량이 한계에 다다른 일본 정부는 방사능 오염수를 정화, 해양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을 세워 지난 10월 27일 시행하려 했으나 국내·외의 반발에 부딪혀 11월 이후로 미룬 상태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방사능을 적정수준으로 낮추는 처리를 한 뒤 방류하겠다는 입장을 줄곧 밝혀왔지만 이러한 과정을 거쳐도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트리튬)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국제적인 논란이 되고 있다.

의회는 결의안에서 해양은 모두가 공유하는 자원으로 방사능으로 인한 바다 오염은 모든 인류에게 영향을 미치는 재난이며 미래 세대에게 치명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하고 오염수 처리 방법은 더욱 철저히 국제사회와의 협의 및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후쿠시만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을 전면 철회할 것 ▲방사능 오염수 관련 모든 정보를 공개하고 오염수 처리 방안에 관해 인접 국가를 포함한 국제 사회와 협의할 것 ▲우리 정부도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해 단호하고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 등의 결의 사항으로 밝혔다.

김 의원은 “한번 오염된 바다를 회복시키는 일은 오랜 시간과 자원을 투입해도 실현 여부를 장담할 수 없는 사실상의 불가역적인 문제”라며 “일본 정부는 방사능 오염수 방류 계획을 취소하고 오염수 처리에 관한한 투명한 정보 공개와 협력적인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회는 이번에 의결된 결의안을 청와대 및 국회와 해수부 등에 송부한다는 방침이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