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김포‘민간 위탁’김포도시철도 인력 부족…노조“예견된 사고”

김포도시철도 사고원인이 종합제어장치 고장(본보 23일자 7면)으로 조사된 가운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가 구조적 하자로 발생한 예견된 사고라는 입장을 내놨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는 23일 보도자료를 내고 김포도시철도 사고는 운영사의 인력부족 등 민간위탁 구조로 인해 일어난 예견된 사고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노조는 “김포도시철도는 김포시와 서울교통공사의 민간위탁 계약에 의해 설립됐고 서울교통공사는 자회사인 주식회사 김포골드라인을 설립, 운영·관리권 일체를 승계했다”며 “민간 위탁에 따라 최소한의 유지·관리 인력만 있는 구조”라고 주장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21일 종합제어장치의 중앙처리보드 고장으로 김포도시철도 전동차가 갑자기 멈췄을 때 운영사 김포골드라인의 관제부서와 차량부서 등은 인력 부족으로 퇴근했거나 당일 휴무인 직원들을 출근시켜 사고조치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

관제부서는 6명이 한조로 편성돼 근무하지만 사고당시 2명이 휴가 중이어서 나머지 4명만 근무했고, 5명이 한조로 근무하는 차량부서도 이직으로 인한 결원과 휴무자가 빠져 3명만 일한 것으로 확인됐다.

노조는 “서울교통공사는 애초 자회사의 안전한 운영에는 관심도 없었다”며 “수익 증대와 인사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김포골드라인 운영 계약을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서울교통공사가 책임지고 안전담당 인력을 늘리고, 실질적인 비상 대응 조치를 수립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번 사고뿐 아니라 향후 역사에서 불이 날 경우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공공운수노조 관계자는 “운영사의 소방계획서를 보면 고객 안전원 1명이 대장, 초기 소화반, 피난 유도반 역할을 모두 맡게 돼 있다”며 “청소용역사 직원이 피난 유도반에 편성돼 지원 역할을 하게 돼 있지만, 역 2∼3곳을 관리하고 있어 실제 지원은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