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론] 왼씨름 VS 오른씨름 上

씨름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유네스코에 등재됐지만, 현대씨름이 ‘왼씨름’인지 ‘오른씨름’인지는 아직 논란이 많다. 왼손으로 다리 샅바를 잡기 때문에 ‘왼씨름’이란 주장이 있지만, 씨름협회조차 현대씨름이 왜 ‘왼씨름’인지를 설명하는 데에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 또 씨름협회는 1987년에 현대씨름을 ‘왼씨름’에 근거 한 ‘바른 씨름’으로 명명했다. 그러나 근대자료나 씨름 원로의 구전에 의하면 현대씨름은 ‘오른씨름’일 가능성이 크다.

최초의 전국대회가 열렸던 1927년 제1회 전조선 씨름대회는 지금과 반대로 왼 어깨를 맞대고 다리 샅바를 오른손으로 잡는 ‘정규씨름’이 정식경기였다. 이때 씨름은 ‘왼씨름’, ‘오른씨름’, ‘통 씨름’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었고, 용어도 통일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대회 참가비를 낸 200명의 선수 중 경기방법에 불만을 품은 150여 명은 경기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후 1929년 조선씨름협회는 ‘정규씨름’을 ‘오른씨름’이라 하고, ‘왼씨름’은 ‘오른 다리에 샅바를 매고 왼손으로 다리 샅바를 잡는 방식’이라고 발표해버렸다. 그러면서 씨름은 지역마다 경기방식이 다르고 ‘왼씨름’과 ‘오른씨름’을 서로 혼용해서 부르기 때문에 선수들의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다. 결국, 씨름대회는 ‘왼씨름’과 ‘오른씨름’으로 경기를 진행하다 1959년 6월 ‘제1회 전국장사씨름대회’부터 ‘왼씨름’으로 통일됐다. 이 때문에 대부분 씨름인은 현대씨름을 ‘왼씨름’으로 알고 있다.

씨름은 ‘샅바’만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깨도 매우 중요하다. ‘샅바 싸움’도 상대 선수보다 어깨를 더 낮춰잡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기 때문에 결국은 어깨도 중요하다는 얘기다. 오른 어깨를 맞대고 경기를 하는데 ‘왼씨름’이라고 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또 사진으로 남아있는 1910년 이후의 씨름 자료를 보면 지금처럼 다리 샅바에 손목을 넣어 잡는 것이 아니고, 샅바 바깥쪽 부분을 손가락만으로 잡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다리 샅바가 지금처럼 중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때 언론보도를 보면 ‘왼씨름’과 ‘오른씨름’의 명칭이 바뀌어야 했었다는 논리도 있고 현대씨름은 ‘오른씨름’일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하편에서 계속.

공성배 세계용무도위원회 사무총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