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가 녹색생태계 회복을 위해 보개면 북좌리 일원에 100억원을 투입, 기후위기 대응 캠퍼스를 조성한다.
시는 29일 민선 7기 취임 후 추진한 도시속의 녹색 생태계 회복을 위한‘그린도시’ 정책이 환경부 공모 스마트 그린도시에 선정돼 60억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시는 보개면 북좌리 일원에 2022년까지 국비 등 100억 원을 투입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캠퍼스 조성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스마트 그린도시는 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을 위해 자원순환, 물순환, 미래차 등 기후ㆍ환경 변화속에서 지속 가능한 도시를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는 기후위기 모니터링은 물론 통합 제어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도시의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 타워를 만들게 된다.
시는 먼저 도시 기후환경 통합시스템 구축과 IoT/VR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친환경 생태 체험 및 휴식공간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공공 소각시설의 폐열을 활용하는 자원순환형 다목적 교육시설을 조성, 신재생에너지 설비 인프라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자원회수 시설에서 발생하는 열과 온수는 생태와 식물 체험장, 판매, 커피 재배 등 주민소득 창출에도 이바지하도록 했다.
300개의 폐수 배출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10개소의 수질오염 자동측정소와 67개소의 폭염쉼터, 60개소의 소음 자동측정소를 설치한다.
5개소의 기후대기측정소와 전광판은 물론 78개소의 미세먼지 신호등, 170개소를 통한 대기 모니터링 등 도시기후 통합제어 관리 기반시설 설치에 나선다.
시는 생태연못과 바이오월 생태교육장, 명상공간 등 방문객을 위한 친환경 생태체험장도 조성하는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시는 효율적이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안성형 그린뉴딜 정책과 연계해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진 그린도시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미세먼지 등 기후위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환경교육 거점시설을 통한 시민들이 함께 공감하고 실천해 나가 사람과 자연이 함께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안성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