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새해 벽두 코로나19 소상공인 지원책 등 지역경제대책 발표

김포시가 새해 벽두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입고 있는 소상공인 등을 위한 지역경제대책을 발표하고 나섰다.

시는 올해 김포페이 발행과 소상공인 자금지원을 대폭 늘리는 등 336억원을 들여 소비진작정책을 역점 추진하는 등 2천300억원 규모의 지역경제 활성화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우선 올해 201억원을 지원해 발행액 1천920억원 규모의 지역화폐 김포페이를 발행한다.

김포페이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지난 2019년 대비 6배 증가한 1천800억원의 발행액을 기록하고 실제 소비에 사용한 비율인 결제율도 90%에 달했다.

이용자(19만6천610명)와 가맹점(1만1천464개소) 등이 지난 2019년 대비 각각 300%와 170% 증가할 정도로 비대면 비접촉시대에 주요 결재수단으로 자리를 잡았다.

시는 지역화폐 소비열풍을 이어가기 위해 올 1월부터 1천920억원 규모의 김포페이 발행을 시작해 소비촉진, 일자리 확대, 경제활력 선순환 기틀을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이어 선제적으로 135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경영안전자금도 지원한다.

경기신용보증재단에 13억원을 출연, 업력 6개월 이상의 소상공인에게 130억원 규모로 특례보증한다.

이에 따른 대출보증 수수료 1억2천500만원, 이자차액 보전 1억2천만원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오는 4월부터 소상공인 정책자금 비대면 대출시스템도 가동돼 이용 편의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경쟁력 강화방안도 추진된다.

시는 김포페이와 연동되는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을 오는 3월부터 도입해 소공인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온라인 판로를 지원한다.

O2O(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 시스템을 통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지원하고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 시범상가도 확대 추진된다.

이와 함께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에 디지털매니저를 지원하고 소비촉진과 스마트 상점도 추진해 상권을 살린다.

시는 앞서 지난해 623억원 규모의 1차 재난지원사업을 선제적으로 펼쳐 코로나19 위기극복 발판을 마련했다.

지역화폐 김포페이의 10% 할인 인센티브를 연말까지 늘리고 모든 주민에게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해 골목상권의 불씨를 살렸다.

전국 최초로 모든 가정과 업체의 2개월분 상하수도요금을 전면 감면하고 1만3천400여명의 임차 소상공인에게 100만원씩의 경영안정지원금도 지원했다.

지난해 11월부터는 40억원 규모의 2차 재난지원사업도 마련, 시행 중이다.

정하영 시장은 “힘든 위기의 시간을 기회로 만들고 4차 산업 혁명을 선점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