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용인시 인구성장률은 전체 인구의 약 1.87%로 예상되며 연말에는 110만명을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용인시는 17일 인구구조와 이동 추이, 결혼과 출산에 따른 통계 등을 담은 ‘2020년 숫자로 보는 용인시의 인구변화’ 보고서를 분석, 이 같은 통계를 도출했다.
시는 보고서를 향후 아동과 가족, 노인 대상의 맞춤형 지원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11년 동안 전출보단 전입 인구가 많았다. 지난 2019년에는 15세 미만 아이를 둔 25~39세 부부가 5만3천559명으로 가장 많이 전입했다. 전입 이유는 주택이 32.2%로 가장 높았고 이어 가족(27.4%), 직업(22.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내국인 인구는 지난 2005~2019년 52.8%가 증가했다. 구별로는 처인구 29%, 기흥구 94.3%, 수지구 35.6% 등이다.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곳은 기흥구 동백동으로 집계됐다.
연령별 인구비율을 살펴보면 35~54세가 가장 많은 35.4%(37만4천859명)를 차지했다. 0~6세까지 영유아 비율은 6.4%(6만7천627명), 25~34세 청년인구 11.9%(12만5천853명), 57~65세 11만명(10.8%), 65세 이상은 12.6%(12만3천817명) 등이다.
경제활동의 주축이 되는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75만9천667명으로 전체인구의 71.7%를 기록했으며 지난 2011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다.
남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33.6세, 여성은 31.1세 등이고 출산연령은 33.8세로 합계출산율은 0.936명으로 집계됐다.
저출산의 원인으로는 자녀 양육의 부담이 31.2%로 가장 많았다. 필요한 정책으로는 보육비 및 교육비 지원(29.3%), 육아 휴직제 확대 등 제도 개선(21.1%) 등이었다.
백군기 용인시장은 “이번 보고서를 다양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시민 중심의 일류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말 기준 용인시 내국인 인구는 107만4천176명, 외국인을 포함하면 109만908명이다. 용인=강한수ㆍ김현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