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옛 미군 유류저장소 일단 오염토 정화 시작…책임소재 갈등 불씨

의정부 금오동 옛 미군 유류저장소 도시개발사업부지 내 오염토 정화작업이 일단 다음달부터 추진된다. 사진은 토양오염 치유 직후의 옛 미군 유류저장소. 의정부시 제공

의정부 금오동 옛 미군 유류저장소 도시개발사업부지 내 오염토 정화작업이 일단 다음달부터 추진된다.

사업시행자인 나리벡시티가 공기지연에 따른 피해를 더이상 버티기 어렵자 우선 정화하고 국방부와 책임문제를 가려 구상권을 청구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염토 정화작업에 따라 유류저장소 도시개발사업은 1년6개월 정도 늦어지게 됐다.

26일 의정부시에 따르면 나리벡시티는 의정부시 금오동 산 30의3 일원 7만5천238㎡ 옛 미군 유류저장소 일대 도시개발사업부지에서 새롭게 발견된 오염토 5만1천㎥에 대한 정화작업에 나선다. 오염토를 외부로 반출해 정화하는 방식이다. 연말까지는 완료할 예정이다.

시는 앞서 지난해 12월22일자로 나리벡시티와 부지를 정화ㆍ매각한 국방부 양측 모두에 2년 이내 새로운 오염토 정화조치를 시행하도록 명령했다.

양측 모두 상대방이 정화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정화를 미뤄왔다.

논란이 된 새로운 오염토는 지난해 5월 도시개발사업을 시작한 나리벡시티가 지난해 8월 부지를 굴착하던 중 발견됐다. 토양오염도1지역 우려기준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석유계총탄화수소)가 ㎏당 500㎎를 초과하는 오염토가 여러곳에서 나오자 전문기관에 의뢰해 정밀 조사했다. 조사 결과 오염 토양은 1만2천㎥ 정도로 TPH가 최고 6천ppm에 이를 정도로 오염도가 심각한 곳도 있었다.

정화책임을 놓고 사업시행자와 국방부는 맞섰다.

국방부는 기름이 흘러나오는 곳은 토양이 아닌 암반으로 매매계약서에 토양 외 오염에 대해선 매도자(국방부)에게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들어 책임이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나리벡시티는 정화해 토지를 매각하고 법상 오염정화 책임이 있는 국방부가 원천적으로 책임이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국방부가 오염토를 암반이라고 주장하나 암반이 아닌 풍화암이라는 주장이다.

이런 가운데, 장기 공사중단으로 피해확산을 우려한 시행사 측이 일단 정화작업을 하고 책임문제는 추후 가리기로 하면서 임시 봉합됐다.

유류저장소 도새개발사업은 미군 유류저장소였던 일대를 청소년 미래직업체험관과 공동주택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국방부가 오염치유를 마치고 사업시행자에게 매각했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애초 내년말까지 기반시설 등 단지 조성을 마칠 예정이었다. 오염치유 등으로 1년6개월 정도 늦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