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 청렴도 높이기운동 되풀이 속 내부청렴도는 여전히 꼴찌 수준

의정부시가 청렴교육등 내부청렴도 높이기에 비상이다.

종합 청렴도 3등급, 외부 청렴도 3등급, 내부 청렴도 4등급….

의정부시가 지난해 국민권익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를 통해 받은 성적표다. 지난 2019년에 이어 청렴도 순위가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다.

시는 국민권익위 성적표를 바탕으로 3일 반부패·청렴도 향상 종합계획을 내놨다. 청렴도 1등급 달성을 위해서다. 취약분야 진단을 통한 조직과 업무환경 개선, 반부패 청렴문화 확산, 부패통제시스템 실효성 확보 등 구체적인 실천과제도 마련했다.

우선 불합리한 관행과 제도 등을 개선, 공직내부 자정노력을 강화하고 전 직원의 관심과 참여 등을 유도할 계획이다.

위법·부당한 예산집행 예방 및 점검, 수의계약제도 개선 등 반부패·청렴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기로 했다. 지난 수년 동안 벌여왔던 청렴도 높이기 계획과 비슷한 내용이다.

시는 지난 2011년 국민권익위 청렴도 종합평가 시 단위 지자체 최우수, 지난 2012년 3위 등을 차지하는 등 청렴 도시를 자랑했다. 하지만 지난 2013년 10위권으로 밀리고 내부청렴도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지난 2014년에는 3등급 43위, 지난 2015년에는 2등급 13위 등으로 다소 향상됐지만, 공무원들이 자체 평가하는 내부청렴도는 3등급으로 낮아졌다.

시는 낮은 내부청렴도를 높이기 위해 인사업무를 투명하게 운영하고 공직부조리신고 창구 확대, 공직자 청렴교육 강화, 공무원 행동강령 준수 강화 등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 추진했다.

해마다 청렴도 향상을 위한 각종 대책을 마련, 추진 중이다.

하지만 국민권익위 평가 종합청렴도는 오히려 떨어져 지난 2018~2019년 3등급, 내부청렴도 5등급 등의수준을 오르내리고 있다.

구구회 시의원은 “의정부시 내부청렴도가 최하위 수준인 것에 개탄스럽다. 간부 공무원들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 간부 공무원은 “부당한 업무지시, 인사의 공정성, 업무추진비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부당한 업무지시 문제는 국ㆍ과장이 업무지시 때 설득, 이해시키는 과정이 충분하지 않은 게 원인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공무원은 “세대 간, 직급 직렬별 갈등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소통을 통해 공유 공감하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황범순 의정부시 부시장은 “백화점식 청렴도 향상계획으론 안된다.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도록 핵심적인 과제를 선택해 집중적으로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 수의계약제도 개선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