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을 재정비한다.
지난해 준공 15년을 맞은 2005년 이전에 준공된 공동주택 258곳이 대상이다.
시는 5년 전 기본계획을 현 상황에 맞게 정밀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 수요 예측에 따라 사업 우선순위도 조정될 전망이다.
시는 17일 이 같은 내용의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 재정비 용역’을 공고했다.
리모델링 기본계획은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주택법에 따라 수립 후 5년마다 기본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앞서 시는 지난 2016년 안양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당시 시는 오는 2025년까지 1만3천400여세대에 대한 리모델링을 진행, 1천200여세대를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구체적으로 석수권역 예술공원주변지구, 안양권역 진흥지구, 명학권역 상록지구, 범계권역 호원초주변지구, 호계권역 덕현지구 등이 언급됐다.
그러나 최초 기본계획 수립 후 5년의 세월 동안 지역여건이 변한 만큼 현 시점에서 타당성을 재차 살피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용역 주요 과제로는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 수요 예측 ▲세대수 증가에 따른 기반시설 영향 재검토 ▲일시집중 방지를 위한 단계별 리모델링 시행 여부 분석ㆍ검토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사업과 재건축사업 비교분석 검토 ▲공동주택 저에너지ㆍ장수명화 방안 등이 나열됐다.
시 관계자는 “리모델링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면 주민 이주, 기반시설 미확보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세대수 증가형 모델의 경우 주민 인프라도 따져야 하는 만큼 이번 용역을 통해 사업 우선순위 등을 살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1990년대 초부터 단기간 평촌신도시 등 공동주택이 대량으로 공급됐다. 이에 2000년대 들어 노후주택이 나타나기 시작,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안양=한상근ㆍ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