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청 간부 40억 빌려 철도역 예정지 인근 땅 매입.. 투기냐, 투자냐

간부 "이미 다 알려진 정보 투기 아냐" 주장

전철 7호선 연장사업 업무를 담당했던 포천시 간부 공무원이 수십억 원을 빌려 전철역사 예정지 인근 토지와 건물을 매입한 것을 두고 투기냐, 투자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5일 포천시와 해당 간부에 따르면 시청 간부 공무원 A씨는 지난해 9월 부인과 공동명의로 전철 7호선 연장 노선의 역사 예정지 인근 2천600여㎡ 땅과 1층짜리 조립식 건물을 매입했다. 매입비용 40억 원은 담보와 신용대출로 마련했다. 문제는 A씨가 2018년 말부터 2019년 말까지 해당 지자체에서 전철 7호선 연장사업 담당 부서 간부로 근무하며 예비타당성 면제 등의 실무를 맡았다는 데 있다. 업무를 담당하며 알게 된 사전 정보를 이용, 역사 인근 부동산을 매입한 것 아니냐는 투기 의혹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A씨는 해당 지역 인근에 전철 역사가 생기는 것은 이미 다 알려진 사전 정보여서 사전 정보를 이용한 투기가 아니라는 주장이다.

A씨는 “처음에는 공무원 신분이어서 땅을 사지 않으려 했으나 토지소유자의 사정이 있어 부득이 매입하게 됐다”며 “혹시 문제가 있을 수 있어 변호사 자문까지 받았다”고 해명했다. A씨는 이어 “6년 전 매입한 토지와 붙어 있는 토지와 건물로, 공직을 일찍 정리하고 사업을 하기 위해 투자 목적으로 샀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공직사회는 해당 간부가 사회 분위기에 편승해 자칫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반응이다. 한 간부 공무원은 “해당 공무원이 매입한 지역 일대는 전철 역사가 아니더라도 시간의 문제이지 앞으로 개발 가능성이 큰 곳으로 누구든 여유 자금만 있으면 투자하고 싶은 지역”이라며 “LH공사 직원들의 사전 개발정보를 통한 투기가 여론의 지탄을 받으면서 분위기에 편승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전철 7호선 연장사업은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2016∼2025년)에 신규 착수사업으로 반영돼 추진됐으며 1조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돼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현재 타당성 평가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대한 주민 공청회를 마쳐 기본계획에 대한 국토교통부 승인을 앞두고 있다. 기본계획에는 포천에 3개의 역사가 들어서게 되며, 정확한 역사 위치는 복수로 추천돼 경기도와 협의 중이다.

포천=김두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